'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 활동 급증…야외활동 시 주의해야

기사입력 2025-10-30 09:39


 ◇활순털진드기 형광현미경 사진. 사진제공=질병관리청

가을철 야외활동이 증가한 가운데, 보건당국이 '털진드기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0월 31일(43주차)에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지수는 0.24로 전주(0.02) 대비 12배 증가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되며,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 Eschar)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증상은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며, 최근 3년(2022~2024년)간 전체 환자의 73.2%가 가을철(10~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국내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이 보고돼 있다. 2024년도 감시 결과, 남부 지역에서는 활순털진드기, 중부 및 북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털진드기는 평균기온 20℃ 미만에서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해 10~15℃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이다가, 10℃ 미만으로 떨어질 때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 2025년 43주차에 평균기온 15.9℃로 떨어지자 털진드기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이 확인됐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가을 단풍철 및 추수기를 맞아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야외활동 시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한다"면서, "쯔쯔가무시증은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이나 농작업 후 물린 자국(가피)이 관찰되거나, 10일 이내(잠복기)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