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척추골절 발생률, 여성이 남성의 약 3배…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배 높아"

기사입력 2025-10-30 10:50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서울부민병원(병원장 하용찬), 대한골대사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참여한 다기관 공동 연구로 의학저널 'Archives of Osteoporosis' 최근호에 게재됐다.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척추골절에 대한 보건의료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합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2022년까지 50세 이상 성인의 척추골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척추골절 발생률이 남성의 약 3배 높고,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 2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척추골절 환자 수는 고령화 영향으로 지속적 증가 추세 ▲ 2010년 이후 발생률 증가세는 다소 둔화됐으나 높은 수준 유지 ▲여성 척추골절 발생률은 전체 기간 동안 남성의 3배 수준 ▲척추골절 후 1년 사망률 약 6%로 큰 변화 없이 지속 ▲남성 사망률은 여성 대비 약 2배 높게 유지 ▲코로나19 유행 시기, 발생률은 다소 감소했으나 사망률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연구팀은 "골다공증의 예방·치료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척추골절은 여전히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고위험군인 여성과 사망률이 높은 남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령층에서 척추골절은 삶의 질 저하, 거동 제한, 사망 위험 증가와 직결되는 만큼,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한 예방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연구진은 고령화 속도 및 의료비 증가 추이를 고려할 때 척추골절 발생과 후유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국가차원의 낙상예방정책, 골다공증 치료 접근성 향상, 사후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50세 이상 척추골절 발생률, 여성이 남성의 약 3배…1년 이내 사망률…
국내 50세 이상 성인의 척추골절 현황을 분석, 연구한 서울부민병원 하용찬 병원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