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2일 '세계 폐렴의 날'…흡인성 폐렴 위험 높이는 잇몸병 예방하려면?

기사입력 2025-11-12 10:28


11월 12일 '세계 폐렴의 날'…흡인성 폐렴 위험 높이는 잇몸병 예방하…

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World Pneumonia Day)'이다.

아동폐렴글로벌연합(TGCCP)이 폐렴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높이고, 폐렴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 2009년 제정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암과 심장 질환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질환으로 집계됐다. 인구 10만 명당 폐렴 사망률은 59명으로, 전년(2023년)보다 2.5% 증가했고, 2014년과 비교하면 무려 149.1% 급증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폐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인 폐렴은 대부분 공기 중 병원균이 호흡기를 통해 폐로 침투하면서 발생하지만, 음식물이나 구강 분비물, 위 내용물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잘못 들어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를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이라 한다.

특히 구강 내 세균이 많을수록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높아진다.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Oral Health'에 게재된 리뷰 논문에 따르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내 세균 증식과 염증이 흡인성 폐렴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저한 구강 관리로 플라그를 제거하면 폐렴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임상적 근거도 제시됐다.

잇몸병은 폐렴을 비롯한 다양한 전신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된 질환으로, '국민병' 수준으로 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4년 외래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잇몸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약 1958만 명으로, 감기(약 1760만 명)를 앞질렀다.

잇몸병 예방의 첫걸음은 '올바른 양치질'이다.

구강 내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가 결합해 형성되는 플라그는 주로 치간과 잇몸선에 축적돼 염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양치할 때 두 부위를 특히 신경 써서 닦아줘야 하는데, 대한구강보건협회는 잇몸병 예방을 위한 양치법으로 '표준잇몸양치법(변형 바스법)'을 권장한다. 칫솔을 연필 잡듯 가볍게 쥐고, 칫솔모를 잇몸선에 45도 각도로 댄 뒤 제자리에서 5~10회 미세한 진동을 준다. 이후 손목을 이용해 칫솔모를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회전시키며 쓸어내듯 양치하면 된다.


표준잇몸양치법을 실천할 때, 과도한 힘을 주어 양치하면 오히려 잇몸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잇몸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적절한 힘으로 양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동 칫솔로 힘 조절이 어렵다면 음파전동칫솔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세한 음파 진동으로 발생한 공기방울이 치간과 잇몸선을 부드럽게 세정해, 잇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필립스 소닉케어의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파전동칫솔이 수동칫솔보다 잇몸 건강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 소닉케어 '9900 프레스티지'를 사용한 집단은 치은염이 29.99%, 잇몸 출혈이 74.08%, 플라그가 28.66% 감소한 반면, 수동칫솔 사용 집단은 치은염이 오히려 1.84% 증가했으며, 잇몸 출혈은 24.72%, 플라그는 0.87% 감소하는데 그쳤다.

하루에 권장하는 양치 횟수는 개인의 식습관에 따라 다르다. 하루 세 끼를 섭취한다면,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하루 3회 양치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또한 양치질은 식사 후 1분 이내, 최소 2분 이상 닦는 것이 좋다.

박용덕 대한구강보건협회장은 "잇몸병은 다양한 전신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심각성이 간과되고 있다"며,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고령층과 만성질환 환자라면, 올바른 양치습관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전신 질환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