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나이가 들면 새치가 늘고 피부 탄력이 떨어지는 것을 자연스럽게 느낀다. 그러나 같은 나이라도 누군가는 훨씬 더 젊게 보이고, 운동 능력도 젊은 층 못지않게 유지한다. 이 차이를 만드는 핵심에는 '저속노화(Slow Aging)'라는 개념이 있다. 단순히 외모를 젊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와 장기의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춰 건강하게 나이 들어가는 것이 목표다.
세포의 수명과 기능은 염색체 끝부분의 '텔로미어(Telomere)' 길이에 큰 영향을 받는다. 텔로미어는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진다.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기능이 떨어지면서 노화가 진행된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황선욱 교수는 "활성산소 과다로 텔로미어 손상이 촉진되면 세포 노화가 가속화된다"며 "주 150분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과 주 2~3회 근력운동, 콩, 두부, 살코기 등 단백질과 채소, 잡곡 중심의 균형 잡힌 식단은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텔로미어 손상을 예방해 노화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피부 노화는 자외선, 미세먼지, 호르몬 변화, 산화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자외선은 피부 DNA를 손상시키고 콜라겐 분해 효소를 활성화해 피부 탄력을 떨어뜨리고 주름을 유발한다.
황선욱 교수는 "자외선 차단과 충분한 보습, 항산화 비타민 C, E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섭취는 피부 노화를 늦추는 데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또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암 등 기저질환은 체내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높여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한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면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황선욱 교수는 "근육량 유지와 증가는 사망 위험을 낮춘다는 보고가 있어,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습관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와 같은 작은 생활습관 변화가 장기적으로 세포 노화를 늦추고, 건강한 노년을 만드는 열쇠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