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의 시세포와 망막색소상피가 손상되어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건성형은 망막색소상피의 대사 이상으로 생긴 노폐물이 축적되면서 서서히 진행되고, 습성형은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이 누출과 출혈을 일으켜 급격한 시력저하를 초래한다. 주요 발병요인은 노화지만 최근 근시 인구가 증가하면서 병적 근시로 인해 발생하는 근시성 황반변성이 주요 황반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근시성 황반변성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중심부에 맥락막신생혈관이 발생하면 시력저하, 물체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어 보이는 변형시, 사물의 중심 부분이 잘 보이지 않는 중심암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증상을 느끼더라도 근시로 인한 일시적 시야 흐림으로 착각해 병원에 내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젊은층에서는 황반변성에 대한 인식이 낮고 증상이 없다면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경우가 많지 않아 조기진단이 어려운 편이다. 대부분 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물체가 왜곡되어 보이는 증상으로 내원하며, 한쪽 눈에 근시성 황반변성이 있더라도 반대쪽 눈이 정상이라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어 증상을 자각하지 못한 채 뒤늦게 병원을 찾기도 한다.
고도근시로 인한 안구구조 변화를 근본적으로 막거나 되돌리는 치료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근시성 황반변성 치료의 목적은 이러한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2차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시력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치료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마찬가지로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를 안구 내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시행되며, 비정상적인 맥락막신생혈관의 성장을 억제하고 누출과 출혈을 줄여 시력 회복을 돕는다. 환자별로 병변 크기와 활동성, 시력 상태가 다양하므로 주사 횟수와 주기는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근시성 황반변성은 병변이 작고 치료 반응이 좋아 나이관련 황반변성보다 적은 횟수의 주사로 안정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망막에 반흔이나 위축이 남아 시력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어, 정기적인 안저검사와 망막단층촬영(OCT)을 통해 조기에 질환을 발견하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굴절교정수술을 받았더라도 망막과 맥락막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각막의 굴절력을 조정해 시력을 교정할 뿐 안구 길이나 망막의 변성을 개선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도근시였던 사람이 굴절교정수술 후 시력이 좋아졌더라도 여전히 근시성 황반변성 등 망막 합병증의 위험이 남아 있으므로 정기검진과 관리가 필요하다.
김안과병원 망막병원 김예지 전문의는 "황반변성은 주로 노화로 인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젊은층에서는 드물긴 하지만 근시가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도 있다"며 "최근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고도근시라면 근시성 황반변성 발병 위험이 높아지므로 나이에 관계없이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