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신용평가사들은 19일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로 지정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에 대해 "운용 보수와 성과 보수라는 추가 수수료 수익 확보로 자산 관리의 수익 기반이 다변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IMA 자체 수익 규모 증가 효과도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증권사의 기업 금융 시장 내 역할 확대, 사업 경쟁력 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신평은 "IMA의 경우 초과수익과 원금 보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점이 투자자에게 장점이지만, 증권사 입장에서는 투자 자산 손실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부담을 전가 받으면서도 수익에 대해서는 고정 수익(운용보수)과 초과 수익(성과보수) 일부만을 공유받는 등 비대칭적 수익 구조를 띠고 있다"고 짚었다.
따라서 "고위험-고수익 자산을 편입하더라도 증권사의 수익 향유 가능성이 제한되기에 상품 설계 시 수익-위험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신평은 발행어음 사업자 인가를 받은 키움증권에 대해서는 "발행어음 수신 기능은 동사의 자금조달 수단 다각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레버리지(차입) 증대 효과로 인한 운용수익 규모 증가, 기업금융 시장 내 영업 기반 제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다만 키움증권이 "장기성 기업 대출, 투자 등 위험인수 영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기 시작한 지 오래되지 않았다"며 "이에 따라 향후 위험인수 영업 확대 시 우량자산 선별 및 리스크 관리가 중요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나이스신용평가도 보고서에서 이번 IMA와 발행어음 사업자 지정이 "해당 증권사의 시장 지위 공고화와 수익 구조 다변화를 위한 전략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했다.
나신평은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에 대해 "계열의 지원 가능성을 제외한 자체 신용도가 'AA'로 이미 증권업계 최고 수준의 신용도를 부여하고 있다"며 "IMA를 통해 중장기적인 수익 기반 확대 정도와 자금 조달원 다각화 수준, IMA 라이선스가 없는 타 종합금융투자사업자 대비 유의적인 경쟁 지위 변화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라고 전했다.
키움증권의 경우에는 "과거 대비 사업 다각화 수준이 제고되고 경쟁사 대비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이 우수한 수준을 지속해 시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될 경우 이를 신용도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engine@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