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행안장관 "재난 시 과하다 싶을 정도의 초기대응으로 인명피해 최소화"
행정안전부는 이날 인천항 인근 해상에서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 국방부, 소방 등 29개 관계기관과 올해 네 번째 '레디 코리아'(READY Korea) 훈련을 실시했다.
레디 코리아 훈련은 잠재 위험으로 인한 대형·복합 재난에 대비해 민·관이 함께 재난 대응체계를 점검하는 훈련이다.
이번 훈련은 겨울철에 해무 등 해상 위험 요인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진행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해양 선박사고의 46.7%(7천811척), 사망·실종자의 62.5%(377명)가 겨울철인 10월에서 이듬해 3월에 발생했다.
훈련은 해무와 위치정보시스템(GPS) 혼신으로 항구 내 선박들이 충돌하고, 이에 따라 여객선 가판 내 전기차 화재와 120t(톤) 규모의 군함 유류 유출, 대피 과정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해 시작됐다.
오후 2시께 짙은 해무 속에서 어선과 여객선, 정박 중인 군함이 충돌했다는 신고가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상황실에 접수됐다. 관계기관은 즉시 상황을 공유하고 구조대 출동을 요청했다.
중부지방해양경찰청과 인천해양경찰서는 구조대와 연안 구조정을 급파하고, 인근에서 항행 중인 선박에 구조 협조를 요청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최초 상황 보고를 받은 즉시 가용 수단을 모두 동원해 인명구조에 총력을 다할 것을 관계기관에 지시하고, 사고 현장으로 이동했다.
행안부는 상황판단회의를 열어 관계기관과 초기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기관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해양수산부는 선박사고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를 가동해 신속한 사고 수습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GPS 전파혼신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GPS 혼신조사팀을 현장에 파견했다.
여객 대피 과정에서 실종자와 부상자가 발생하자 해양경찰청과 국방부(해군본부)는 가용한 해상 구조 세력을 모두 출동시켜 현장 구조본부를 운영했다.
여객선에 적재된 전기차에서 화재가 확산하면서 구조 수요가 급증하자 행안부는 범정부 총력 대응을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가동했다.
해양경찰청과 인천중부소방서는 선내 화재를 진압하는 동시에, 헬기를 활용해 표류자와 선내 고립자를 구조하고 중증 환자는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다.
이어 실종자 수색과 유류 유출 확산 차단, 환자 후송 및 피해자 지원 등 사고 수습·복구가 진행됐다.
해양경찰청과 국방부(해군본부)는 구조정을 통한 광역 수색을 실시해 표류자 전원을 구조하고, 추가 실종자 여부를 확인했다.
인천광역시와 중구는 피해자와 유가족 지원을 위해 1:1 전담 공무원 배정, 심리상담을 포함한 의료·보험·행정 서비스를 한 곳에서 안내하는 통합지원본부를 운영했다.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상담·안내 등 피해자 지원과 유류 방제 작업에 참여해, 신속한 사고 수습을 위해 힘을 보탰다.
해양환경공단은 방제선 4척을 투입해 오일펜스를 설치하고, 인근 권역에서 방제 장비를 받아 기름띠 확산을 신속히 차단했다.
인천중부경찰서와 인천항만공사는 항만 내 위험구역을 통제해 여객 대피 안내를 실시하고, 인천경찰청은 중증 환자 이송 과정에서 '구급차 길 터주기'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교통 통제에 나섰다.
윤 장관은 "이번 레디 코리아 훈련을 통해 해상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복합 재난 상황을 놓고, 기관별 대응체계를 면밀히 점검했다"며 "각종 재난·사고 발생시 과하다 싶을 정도의 초기대응을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indong@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