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패럴림픽결산]'아프간선수 →태권청년 주정훈까지' 도쿄패럴림픽 빛낸 영웅열전

전영지 기자

기사입력 2021-09-05 15:05


3일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 메세홀 B에서 열린 도쿄 패럴림픽 남자 태권도 75kg급(스포츠등급 K44)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 주정훈이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 이살디비로프를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주정훈이 감격스러워하고 있다. 지바현(일본)=사진공동취재단/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1.9.3/

'올림픽에선 영웅이 탄생하지만 패럴림픽에는 영웅들이 출전한다.'

도쿄패럴림픽이 5일 오후 8시 도쿄 올림픽스타디움에서 펼쳐지는 폐회식을 마지막으로 13일 열전의 막을 내린다. 이번 도쿄패럴림픽에선 특히 열악한 환경 속에 '꿈의 무대'에 오른 선수들의 열정과 투지가 빛났다.

아프가니스탄의 장애인 여자 태권도 자키아 쿠다다디(23)와 남자 육상 호사인 라소울리(26)는 가장 극적으로 도쿄 무대에 올랐다. 개막 일주일 전인 지난달 17일,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장악으로 공항이 마비되면서 쿠다다디와 라소울리는 수도 카불에 발이 묶였다. 패럴림픽 출전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쿠다다디가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전 세계에 "아프가니스탄의 여성으로서, 아프가니스탄의 여성 대표로서 도움을 청한다. 도쿄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게 목표다. 내 손을 잡고 도와달라"고 간청했다. 지난달 28일 아프가니스탄 선수들이 도쿄에 입성했다. 호주 등 여러 정부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스포츠 및 인권 단체들을 비롯해 조정원 총재가 이끄는 세계태권도연맹이 이들의 탈출과 출전을 도왔고 이들은 '꿈의 무대'에서 힘차게 날아올랐다. 라소울리는 주종목 육상 100m가 이미 끝난 탓에 지난달 31일 남자 멀리뛰기(T47)에 출전해 13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쿠다다디는 2일 첫 경기인 태권도 여자 49㎏급(스포츠등급 K44) 16강전에서 패했고, 9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들에게 메달이나 순위는 전혀 중요치 않았다. 두 선수는 출전만으로도 큰 울림을 전했다.


2020 도쿄 패럴림픽 개회식이 24일 오후 8시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아프가니스탄 국기가 자원봉사자의 손에 들려 입장하고 있다.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정권을 재장악한 아프가니스탄은 결국 선수단을 파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개회식 선수단 행진에 아프간 국기가 합류하며 연대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했다. 도쿄(일본)=사진공동취재단/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1.8.24/
또 이번 대회에는 파르페 하키지마나(태권도·부룬디), 이브라힘 알 후세인(수영), 알리아 이사(곤봉던지기), 아나스 알 칼리파(카누·이상 시리아), 아바스 카리미(수영·아프가니스탄), 샤흐라드 니사이푸르(이란·원반던지기) 등 6명의 난민 대표팀 선수도 출전했다.

이사는 패럴림픽 최초의 여성 난민 대표 선수로 전세계 장애인 여성과 여성 난민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었고, 부룬디 출신의 하키지마나는 난민 대표팀의 첫 패럴림픽 태권도 선수로 출전했다. 8세 때인 1996년 반군의 공격으로 왼쪽 팔에 장애를 갖게된 그녀는 태권도를 통해 살아갈 힘을 얻었고 패럴림픽 무대에서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대한민국 국기(國技)인 태권도는 이번 도쿄 대회에서 처음 패럴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됐고, 뜨거운 감동과 함께 희망의 증거가 됐다. '한국 최초'의 패럴림픽 태권도 국가대표이자 메달리스트인 주정훈(27·SK에코플랜트)은 3일 남자 75㎏급(스포츠등급 K44) 동메달 결정전에서 만난 마고메자드기르 이살디비로프(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와 진한 동료애를 드러냈다. 16강에서 주정훈을 꺾었던 이살디비로프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리턴 매치'를 펼쳤는데, 이번에는 주정훈이 그를 꺾고 메달을 거머쥐었다. 경기후 주정훈은 상대를 포옹하며 우정을 나눴고, 이살디비로프는 믹스트존에서 주정훈을 향해 엄지를 들어 올리며 "챔피언!"이라고 외쳤다. 태권도의 예의, 스포츠맨십이 돋보인 훈훈한 장면이었다.

또 비장애인 선수 시절 이루지 못한 올림픽 출전의 꿈을 패럴림픽에서 이룬 선수도 있다. 태권도 여자 58㎏급에서 금메달을 딴 리사 게싱(43·덴마크)이다. 게싱은 덴마크의 비장애인 태권도 국가대표였으나 베이징 올림픽을 1년 앞둔 2007년 골수암 판정을 받았고, 2012년 종양이 자라던 왼 손목을 절단해야 했다. 2004년 아테네 대회 예선을 마지막으로 올림픽과는 연이 끊겼다. 절망했던 게싱은 장애인태권도를 통해 일어섰다. 다시 국가대표로 뛰게 된 게싱은 이번 패럴림픽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양팔이 없는 탁구선수 이브라힘 하마드투(48·이집트)도 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10살 때 기차 사고로 두 팔을 잃은 하마드투는 입으로 탁구채를 문 채 경기한다. 오른발로 서브를 넣는다. 첫 패럴럼픽이던 리우 대회에서 단식(스포츠등급 TT6) 2경기와 단체전 1경기에 나서 모두 패한 그는 "인생에 포기란 없다"는 좌우명대로 다시 탁구채를 입에 물고 이번 대회에 출전했다. 도쿄에서도 한국 박홍규와 맞붙은 단식 1회전을 포함해 모든 경기에서 패했지만, 도전은 변함없이 아름다웠다.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