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체활동이 현저히 줄어든 코로나 팬데믹 기간, 서울시 초·중·고 비만군이 2018년 15.8%에서 2021년 20.8%, 2022년 18.4%까지 늘어나고, 학생건강체력평가 4~5등급 '저체력' 학생은 2018년 9.3%에서 2022년 13.9%까지 급증한 상황. 결코 미룰 수 없는 서울 학생들의 건강 회복을 위해 서울시교육청이 팔을 걷고 나섰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디지털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교실을 17개 시도 중 최초로 도입했다. AI 시대, 디지털 세대들의 몸과 마음을 절로 움직일 맞춤형 체육 시설과 프로그램을 고안했다. 지난해 초중고 150개교에 이어 올해 초중고 50개교에 각 5000만원을 지원, 기존 체력단련실 공간에 스마트 기기, 데이터 네트워크 등 첨단 기술을 접목했다.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기록, 개인별 데이터를 누적 관리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해 학생 스스로 건강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세상에 없던 '신박'한 체육교실, 현장의 호응은 기대 이상이다. <편집자주>
|
|
|
|
정상규 특수교사는 "아이들이 디지털 기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스마트 기기가 운동에 동기부여가 된다. 시각적 효과도 크다. 이 공간을 아주 좋아한다"고 귀띔했다. "기계가 많다보니 어른이 없으면 위험할 수도 있는데 이의준 선생님이 늘 상주하시기 때문에 안전 걱정도 없다"고 했다. 운동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 교사는 "예현이가 110㎏이었는데 몇 주만에 8㎏가 빠졌다. 비만이다 보니 소아당뇨, 혈압 문제도 있어 체중조절이 시급했다. 이젠 허벅지에 근육도 생겼다"며 흐뭇함을 전했다. 이마에 땀이 송글송글 맺힌 예현이는 "재미있어요. 안힘들어요. 오늘도 열심히 했어요. 운동하니까 기분이 좋아졌어요"라며 활짝 웃었다. 준우는 "저도 예현이처럼 살 뺄 거예요. 운동하면 근육이 생겨요. 엄마가 '근육맨' 되라고 했어요"라며 운동 의지를 표했다. 정상규 교사는 "장애학생일수록 교내에 이런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더 필요하다. 이 아이들에겐 생명 유지와 직결된 문제"라고 힘주어 말했다. "친구들과 함께 운동하면서 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 운동을 통해 아이들이 밝아지고 건강해지고 자신감이 생긴다. 일반학급에서 다른 수업을 할 때도 자신감 있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면서 "스마트 건강관리교실을 통해 아이들의 운동 데이터를 매일 확인하고 체력관리를 해줄 수 있어 보람 있다"고 했다.
|
|
김진효 과장은 "서울시교육청은 앞으로도 학교 특성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스마트 건강관리 교실을 구축해나갈 계획"이라면서 "모든 아이들의 평생 건강습관을 지키는 스마트 건강관리 교실이 향후 모든 학교에 보급되길 바란다. 더 많은 학교에 속도감 있게 확대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여의도고=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