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가 신고인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가명 조사 제도를 전면 도입했다고 밝혔다.
|
|
이 대통령은 "체육계 폭력뿐 아니라 중소기업 기술 탈취, 원가 후려치기 등에서도 약자들은 혹시 신고하고 문제 삼았다가 자신이 피해를 입을까봐 말을 못한다. 이부분은 다른 부처도 다 해당된다. 공정거래위 신고도 그렇다고 한다. 누가 신고했는지 실질적으로 다 알게 되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을까봐 신고를 못한다"면서 "제도적으로 익명화할 수 있는 조사방법이 필요하다. 누군가 신고를 하면, 그것만 조사하면 딱 드러난다. 기본적으로 제보는 다 익명으로 처리하고 일반적인 조사, 포괄적으로 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보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우리사회 약자 그룹들은 언제나 드러날까봐 두려워서 말을 못한다 체육도 비슷하다 .익명을 철저히 보장하고 어느 지역, 어느 단체가 문제가 있다면 그 지역, 단체를 포함해 동시에 몇 군데를 한꺼번에 조사해 드러나지 않게 하는 방식을 고민해달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스포츠의 경우 특히 학교에서 매우 폐쇄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피해자가 겁을 먹어 신고도 잘 못하고 있다. 대통령님 말씀처럼 조사하는 방법에서도 기술적인 방법을 찾아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겠다"면서 "교육부의 협조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학생선수는 일정한 성적이 나지 않으면 장래가 없다. 그래서 지도자의 폭력에 저항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퇴출 후 지역의 다른 단체로 가서 활동하는 경우다. 같은 종목 안에서 서로 네트워크가 잘돼 있어 서로 밀어주는 게 있다"면서 "스포츠계 전체에서 작은 학교 지도자조차도 갈 수 없게 근본적인 퇴출이 고민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 장관이 "현재 그렇게 퇴출되고 있다. 지도자 자격 자체가 박탈돼 다시는 활동할 수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답하자 이 대통령은 "그래서 저번 그 양궁선수는 어떻게 됐어요? 왜 이렇게 오래 걸려요?" 라고 지난 8월 정치적 성향을 담은 글을 SNS에 지속적으로 올려 논란이 된 양궁 국가대표 이슈를 직접 챙겼다. "이의 신청도 있고 해서 시간이 걸린다"는 답변에 이 대통령은 "뭐든지 너무 지연되지 않게 신속하게 시간을 질질 끌지 않게 진행했으면 좋겠다"며 신속한 실행을 주문했다.
|
박지영 스포츠윤리센터 이사장은"신고 접수와 처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체육계 구성원들이 센터를 신뢰하고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는 의미"라면서 "특히 학생선수들의 폭력 및 성폭력 등 인권침해를 용기 내어 신고한 뒤, 신고자를 추적하거나 따돌리는 형태의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체육계 전반의 인식 변화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스포츠윤리센터는 피해자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국민이 모두 안전하게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제도적 장치를 계속 보완하고 지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