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캠프결산②]각양각색 공인구 반응, '사람'이 문제다

정현석 기자

기사입력 2019-03-08 06:10


해외 캠프, 끝물이다. 이제 짐을 쌀 시기다.

일본과 미국에서 전지훈련을 마친 10개 구단들. 8일부터 10일까지 차례로 귀국한다. 더 이상 연습은 없다. 12일부터 20일까지 시범경기를 치른 뒤 23일 개막전을 시작으로 팀 당 144경기 대장정에 돌입한다.

전훈 내내 훈련복을 적신 땀의 무게 만큼 결과가 기다리고 있다. 다사다난 했던 지난 스토브리그. 과연 어떤 변화가 기다리고 있을까. 4팀의 사령탑이 교체됐고, 공인구가 달라졌다. 외국인과 신인 선수 등 뉴페이스의 등장도 판도를 요동치게 할 요소들이다.

[캠프결산①]'4인4색' 새 사령탑, '팀 색깔'이 달라졌다

[캠프결산②]각양각색 공인구 반응, '사람'이 문제다

[캠프결산③]신인과 유턴파, 뉴페이스가 몰고온 변화의 바람

[캠프결산④]확 달라진 외국인투수, '전력의 절반'이 맞습니다




달라지는 공. 캠프 전부터 초미의 관심사였다. '반발 계수를 일본 수준으로 낮췄다'는 KBO의 발표에 각종 분석과 전망이 쏟아졌다.

캠프지에 뿌려진 새로운 공인구. 접해본 이들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 사실 포커스는 '비거리 줄이기'. 그 논리대로라면 유리해질 투수들은 정작 공 모양 변화에 신경을 쓰는 모양새. 일단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한 평가가 쏟아졌다. "공이 커졌다", "실밥이 넓어지고 낮아졌다"는 투수들의 공통 지적사항이었다. 그 결과, 문제의 비거리에 대한 예상 답안은 엇갈렸다.

무시할 수 없을 거란 의견부터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견해까지 다양했다. 변화가 있다는 주장은 대체로 이랬다. "비거리는 살짝 줄고, 실밥이 넓어져 변화구가 더 떨어질 것"이란 주장이다. '불편하다'는 주장도 있었다. LG 포수 유강남은 "실밥 두께가 낮아지고 둘레가 커지니까 송구하는게 다소 불편하다"고 이야기 했다.

의외로 투수들의 불평이 만만치 않다. "KBO 공인구는 심이 좀 두껍고 내 손에 잘맞는거 같다"며 만족해 하는 LG 켈리 같은 선수도 있지만 "공이 손에 안 들어 온다. 착 감기는 맛이 없다"며 투덜대는 선수도 있다.


가장 보편적인 반응은 무시다. "변화? 잘 모르겠던데?"란 답이 의외로 많았다.

"공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란 반응이 잇따랐다. 선수에 따라 천차만별로 다르다는 주장이다. 투수 출신 롯데 양상문 감독은 공 크기와 실밥 변화에 대해 "손이 큰 선수는 변화구 각도가 더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손이 작은 선수는 불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 김원형 코치는 "금방 적응할 것"이라며 손사래를 쳤다. 그는 "예전에도 구단 별로 쓰는 공이 달랐다. 실제 좀 예민한 선수들도 많았는데 별로 큰 문제는 아니었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LG 이병규 코치는 "조금 덜 나가는 것 같기는 하다. 그래도 타자마다 다르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SK 염경엽 감독은 캠프 전만 해도 "공인구 변화가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구체적 예상 데이터를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캠프 막판에는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 "어차피 거포가 중심에 맞힌 공은 무조건 넘어가게 돼있다. 홈런 10개 안팎 치는, 펜스를 살짝 살짝 넘기는 중거리 타자들에게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롯데 주형광 코치는 "반발력 변화는 아직 경기를 많이 치르지 않아 체감할 정도는 아니다. 문제는 투수의 제구력이다. 아무리 반발력이 커도 제구가 정확하면 큰 문제가 안된다. 제구에 대한 섬세한 측면이 떨어지다 보니 이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다"며 역시 사람이 문제임을 지적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