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꼬여만 가는 실타래, 시간은 선수협의 편이 아니다

박상경 기자

기사입력 2019-11-28 11:39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찬바람은 더 거세지고 있지만 발걸음은 더 꼬이고 있다.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의 행보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선수 처우 개선을 기치로 내걸고 출항한 이대호 회장 체제지만 지난 1년 간 불협화음만 반복됐을 뿐, 마땅한 대안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선수협 사무총장 자리가 바뀐다. 지난 3년간 선수협의 입장을 대변해 온 김선웅 변호사가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다. 표면적인 이유는 '임기 만료'지만, 최근 KBO 이사회 개선안과 관련한 의견 차이가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김 사무총장은 KBO 이사회가 내놓은 FA 등급제, FA 취득기간 단축, 최저 인상 연봉안과 FA 총액 상한제(80억원)를 맞바꾸는 안을 일단 받아들인 뒤 세부 협상을 하자는 쪽으로 알려졌다. 그는 스포츠조선과의 통화에서 "(KBO와의) 협상안이 선수들 입장에선 여전히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렸을 수도 있다"며 "결과를 내지 못했고, 고인 물이 되고 싶지 않았다. (선수들의) 결정에 이의는 없다"고 말했다. 선수협은 내달 2일 정기 총회를 통해 후임 사무총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새 사무총장 체제에서 선수협 입장은 한층 강경해질 것으로 보인다. 4년의 FA 재취득 기간 폐지, 고액 선수 연봉 감액 폐지 등의 기존 주장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높다는게 야구계의 시각이다. 선수협이 KBO 규약의 불공정성을 지적하며 공정거래위원회 자문을 거쳐 법적 판단을 받기로 한 부분도 관철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KBO와 선수협의 협상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평행선을 달리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0개 구단은 협상과 관계없이 이미 FA 총액 상한제에 맞춰 걷고 있다. 지난해 몰아닥친 스토브리그 '한파'가 올해도 반복되고 있다. 준척급 선수들이 다수 시장에 나왔지만, 상한액인 80억원은 커녕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계약자가 속출하고 있다. FA를 신청한 일부 선수들은 미아가 될 위기에 처했다. '합리적 경영'이라는 확고한 명분을 앞세우는 구단들에 비해 선수협의 요구사항은 당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FA 제도를 둘러싼 잡음은 결국 KBO리그 흥행 부진을 가속화 시킬 수밖에 없다. 야구계 안팎에선 FA 제도 개선을 두고 벌어지는 논쟁에 대한 피로감이 상당하다. 수 년째 지적된 경기 품질, 팬서비스 개선 등 반전책을 마련하기에도 모자란 판에 '밥그릇 지키기' 싸움을 펼치고 있다는 곱지 않은 시선과 목소리도 들린다. 일각에선 처우 개선에만 몰두하는 듯한 선수협이 과연 선수 전체의 의견을 대변하고 있는지에 대해 물음표를 붙이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선수협의 입지는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