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생애 첫 태극마크에 들떴다. 하지만 영광과 더불어 아픔으로 남을 모양새다.
한국의 본선 2라운드 진출을 위한 경우의 수는 일본 전승-중국 전패-한국 체코 호주 2승2패 동률 및 3팀간 최소 실점 1위라는 단 한가지밖에 남지 않았다. 1점1점이 아쉬운 한국으로선 뼈아픈 실점이었다.
이번 대회 들어 매경기 '분골쇄신'해온 김원중 입장에선 한층 속상한 이야기다. 이번 WBC는 고교 시절 부상으로 청소년대표조차 해보지 못한 김원중에겐 생애 첫 태극마크다. 때문에 김원중은 누구보다도 기뻐하며 이번 대회를 준비했다.
특히 매경기 처한 상황이 가혹하기 그지 없다. 아무리 격한 승부에 익숙한 마무리투수라지만 부담이 너무 크다.
|
하지만 막상 본게임인 9일 호주전에서는 한국 야구팬들의 '공공의 적'이 됐다. 이날 김원중은 7회 1사 2,3루 상황에서 마운드에 올랐다. 첫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다음 타자 로비 그렌디닝에게 3점 역전포를 허용했다.
김원중의 시련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10일 일본전에는 6회 김윤식의 볼넷-사구-볼넷으로 밀어내기를 내준 뒤 무사 만루 상황에서 팀의 운명을 짊어져야했다. 김원중은 2안타 1실점하며 이닝을 마무리짓지 못한 채 단 6구만에 교체됐다. 대표팀은 이 이닝에만 무려 5점을 내줬고, 7회 2점을 추가로 내주며 콜드게임 위기에 몰리는 등 한일전답지 않은 굴욕을 겪었다.
|
이로써 김원중은 오릭스전, 한신 타이거즈전(이상 연습경기) WBC 개막 후인 9일 호주전, 10일 일본전에 이어 이날 체코전까지 모두 마운드에 오른 투수가 됐다. 오릭스전 때는 최고 151㎞까지 나오던 직구 구속도 체코전에선 140㎞ 안팎까지 추락했다. 두산 정철원(24) 역시 김원중처럼 오릭스전부터 체코전까지 5경기 연속 등판하고 있다.
과거 '국민 노예'라는 별명을 얻었던 2009 WBC의 정현욱(5경기 10⅓이닝), 2020 도쿄올림픽의 조상우(6경기 8⅓이닝) 못지 않은 혹독한 경험이다. 당시 조상우는 도쿄올림픽에서 7일간 5경기에 모두 등판하고도 메달 획득에 실패, 야구팬들의 눈시울을 붉힌 바 있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