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양쪽 모두 재능이 있는 건 맞는데..."
어리고 유망한 선수들이 메이저리그 구단과 손을 잡는게 이례적인 일은 아니지만 김성준의 경우 일단 계약금이 100만달러가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텍사스 구단이 선수의 미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는 것. 그리고 투-타 겸업에 대해 어느정도 보장된 안으로 협상을 마무리 지었다는 자체가 파격적이다.
어릴 때부터 야구 잘하는 선수가 투수로도, 타자로도 다 잘 한다. 하지만 그건 학교 레벨에서 통하는 것이고, 프로에서는 두 쪽 모두에서 톱클래스가 되기 쉽지 않은 현실이다. 한 쪽만 죽어라 파고들어도,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 메이저리그에서 '이도류' 신화를 쓴 오타니의 경우 정말 신이 내린 재능이라고밖에 표현을 하지 못하겠다.
|
그래서 김성준이란 선수가 어떤 선수인지, 현장에서 그를 오래 지켜본 3개 프로 구단 스카우트에 물었다. 그렇다면 첫 번째로 궁금한 것. 과연 김성준이 KBO 신인드래프트에 나왔다면 무조건 전체 1순위라고 확정지을 수 있을만큼 압도적인 선수일까.
A구단 스카우트는 "1순위 아니면 2순위 두 자리 중 하나는 확실한 선수였다"고 평가했다. B구단 스카우트도 "무조건 톱2다. 많은 팀들이 1순위 후보로 생각했겠지만, 톱2라고 얘기한 건 전문적인 투수가 필요한 팀이 1순위 지명권을 갖는다면 다른 선수를 생각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C구단 스카우트는 "올해 드래프트 '빅3'중 한 명으로 꼽혔다. 모든 팀들이 검토한 선수다. 다만, 무조건 1순위라고 확신할 수 있는 수준까지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
그렇다면 투수, 타자 어느쪽 재능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을까. A구단 스카우트는 "야수로 성공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제2의 김도영'이 될 수 있는 선수다. 대형 유격수 자질을 갖고 있다. 투수로는 153km까지 던지지만, 전문적으로 투수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보인다"고 설명했다.
|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