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체크스윙 비디오 판독은 뭐하러 만들었나, 이렇게 좋은 방법이 있었는데.
앞서 등장한 윤도현의 아웃 과정이 석연치 않았다. 1사 주자 없는 상황, 2B2S서 상대 류진욱이 던진 공이 윤도현의 몸쪽으로 날아왔다. 윤도현은 방망아를 내다 멈췄다. 공은 뒤로 빠졌다. 구심은 스윙, 파울 어떤 판정도 내리지 않았다. 판정이 없자 뭔가 불안했던 윤도현은 1루로 뛰기 시작했다. 그 모습을 본 NC 포수 김형준은 1루로 공을 뿌렸다. 낫아웃 상황이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다. 윤도현이 자신의 체크스윙이 헛스윙일 경우에 대비해 뛴 것이다. 1루에서 세이프.
|
그런데 NC는 체크스윙 판독을 신청할 수 없었다. 규정상 수비팀은 구심이 노스윙 선언을 했을 때만, 체크스윙 판독을 신청할 수 있다. 이 때는 심판의 어떠한 판정 선언도 없었다. 그러니 윤도현의 방망이가 돌았다고 해도, 이를 스윙으로 판정할 명분이 전혀 없었다.
|
KBO는 이에 대해 규정에 '타자의 파울/헛스윙'을 비디오 판독으로 할 수 있다는 근거로 변명을 했다. 하지만 여기서 헛스윙은 타자의 방망이가 돌았냐의 개념이 아니라, 배트에 공이 맞지 않았다를 얘기하는 것이다.
|
이와 비슷한 상황이 또 발생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이 변명을 막으려면 규정을 더 자세하게 바꿔야 한다. 이번 사태가 일어나니, 후폭풍을 막기 위해 헛스윙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미봉을 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체크스윙 판독이 안 될 시에는, 파울/헛스윙 판독으로 스윙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한다는 걸 확실하게 명시해야 한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