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스포츠조선 박재만 기자] 끝판대장 오승환에게 수줍은 표정으로 꽃다발을 건네며 존경심을 표했던 '제2의 오승환' 조병현이 9회 마운드에 올라 전성기 시절 오승환을 연상시키는 피칭을 선보였다.
오승환 은퇴 투어가 열린 11일 대구 라이온즈파크. 경기 시작 전 삼성과 SSG 선수단은 더그아웃 앞에 나와 도열했다. 장내 MC 소개와 함께 그라운드에 등장한 오승환은 팬들에게 인사를 건넸다.
은퇴 기자회견에서 후배 중 제2의 오승환을 묻는 말에 오승환은 김택연, 김서현, 박영현, 조병현을 꼽았다.
오승환이 꼽은 후계자 조병현은 경기 전 은퇴 투어에서는 동경하던 선배와 악수를 나눈 뒤 어린아이처럼 설레는 표정을 지었다.
|
훈훈했던 은퇴 투어 행사가 끝난 뒤 시작된 경기는 치열했다. 경기 후반부까지 4대3 1점 차 리드를 지키고 있던 삼성은 8회초 필승조를 가동했다. 선발 후라도 뒤를 이어 마운드에 오른 김태훈이 깔끔하게 이닝을 막아주길 바랐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선두타자 SSG 안상현을 유격수 땅볼 처리한 뒤 갑자기 흔들렸다. 이어진 승부에서 최정에게 볼넷을 내주자 박진만 감독은 좌완 배찬승을 마운드에 올렸지만 결과는 스트레이트 볼넷이었다.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마무리 김재윤까지 일찍 마운드에 올렸지만 류효승과 승부에서 안타를 허용하며 1사 만루 위기가 이어졌다. 마무리 김재윤은 최지훈에게 밀어내기 볼넷으로 동점, 이어진 고명준과 승부에서는 적시타를 맞으며 결국 역전까지 허용했다.
|
|
2사 이후 이성규와 승부에서 초구로 던진 직구까지 9회 마운드에 오른 마무리 조병현은 가장 자신 있는 직구만 5개 연속 던질 정도로 배포가 남달랐다.
이날 조병현의 최고 구속은 149km였지만 포수 마트에 들어가는 마지막 순간 떨어지지 않고 떠오르는 듯한 라이징 패스트볼 같았다.
|
오승환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성기 시절 오승환처럼 자신 있게 직구 승부로 타자들을 윽박지른 조병현의 피칭이 인상적이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