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이게 무슨 코미디같은 일인가.
창단 첫 시즌 플레이오프행,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캐롯은 웃을 수 기쁜 날 웃을 수 없었다. 자신들이 플레이오프에서 뛸 수 있을 지, 없을 지 모르기 때문이다. 아니, 정말 부끄러운 이유로 처절하게 짐을 싸야할 것 같은 운명에 더 슬펐을 지 모른다.
캐롯 사태가 점입가경이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을 모기업으로 둔 데이원스포츠는 이번 시즌을 앞두고 KBL 무대에 야심차게 발을 들였다. 고양 오리온을 인수했다. 캐롯손해보험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고, 그동안 농구단과 인연이 없었던 낫소와 용품 계약을 맺는 등 순조로운 행보를 보였다.
사실 농구단 운영으로 수익을 얻는 구단은 없다. 매 시즌 50~70억원의 돈을 쓰는 이유는 홍보다. 그런데 KBL이 캐롯을 받아준 건 허 재라는 당대 최고의 스타 출신 대표도 중요했지만 대우조선해양건설이라는 배경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 대우조선해양건설이 경영난을 이유로 농구단 운영에 두 손을 들어버리니 지금의 선수단 급여 지급 지연 등 프로답지 못한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
책임감 없이 한 시즌 만에 구단을 팽개친 데이원스포츠가 가장 큰 문제지만, 이런 일이 충분히 예견됐음에도 대책 없이 이들을 들인 KBL이 더 문제다. 10개 구단 유지가 어쩔 수 없는 선택지였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할 것에 대비한 대책을 내부적으로 마련해놨어야 하는 게 맞았다. 플레이오프 일정과 가입비 납부 기한이 꼬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작금의 사태에 실소를 감출 수 없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