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새 바람이 분다.
사전제작은 분명 양날의 검이다. 일단 제작비가 상승한다. 아무래도 사전제작 시스템은 촬영 시간에 제한이 없다 보니 방송 일정을 따라가는 일반 드라마에 비해 소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비용 폭도 올라간다. 그런데 여기에 복병이 작용한다. 바로 시청자 반응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 드라마의 최장점은 실시간으로 시청자 반응을 피드백하고 이를 배우들의 연기와 작품에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인데 사전제작은 이를 포기하고 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실패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비천무'나 '로드넘버원'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
|
한 관계자는 "원작 드라마의 경우 기존 팬덤의 지나친 관심과 싱크로율에 대한 집착은 제작에 있어 어려운 요소다. 그러나 기존 팬덤이 있다는 것은 특별한 홍보나 이벤트 없이도 꾸준한 관심을 갖고올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더욱이 tvN '미생'과 '치즈인더트랩'이 가속도를 붙였다. 원작 드라마로도 재미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다. 최근 지상파 드라마 위기설부터 시작해 분위기가 영 좋지 않다. 이런 가운데 시청률을 무시하고 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검증되지 않은 작품보다는 안정감 있는 원작 드라마에 눈이 갈 수밖에 없다. 이는 KBS 뿐 아니라 다른 방송사의 공통 난제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