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영웅 기자] 2014년 소유와 정기고가 부른 곡 '썸'은 그야말로 가요계의 대형사건이었다. 한해 22개의 트로피와 차트 최장기간 1위란 대기록을 세운 이 곡은 애매모호한 남녀간의 연애행태를 뜻하는 '썸'이란 트렌드를 발빠르게 캐치해 신드롬이 되었다. 대형 걸 그룹들의 맞대결로 달궈진 당시 가요계 분위기를 감안하면, 승자는 결국 엉뚱한 곳에서 터진 셈이다. 15년차 베테랑 가수 정기고가 본격적으로 대중에 노출되기 시작했고, 씨스타 소유는 믿고 듣는 솔로 여성보컬로 가능성을 인정받게 되었으니 메이저와 인디씬 윈윈(win win) 전략의 대표사례라 부를 만하다. 또 이것은 대중음악계의 또 다른 생태계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메이저 기획사와 인디 레이블의 교류. 단순한 협업에 머무는 게 아닌, 영리하게 서로의 장점만을 흡수하는 시스템의 형태다.
스타쉽 엔터테인먼트는 정기고, 주영, 매드클라운 등 힙합 알앤비씬의 실력파 아티스트를 영입한 '스타쉽 엑스'란 레이블을 꾸려 성공을 거뒀고, YG는 소속 가수인 에픽하이 타블로에게 '하이그라운드'(HIGHGRND) 라는 레이블을 차려주며 인디신에서 가장 핫한 밴드라 불리는 혁오를 영입해 주목을 받았다. 여기에 YG의 핵심 프로듀서 테디가 이끄는 더블랙레이블은 블랙뮤직을 중심으로 하는 YG레이블의 또 다른 축이다. 또 로엔엔터테인먼트는 산하 레이블인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로 나눠 차별화된 시스템을 구축했고 '문화인'이라는 굵직한 인디 합동 레이블 회사를 내부에 설립했다. 개성강한 음악의 독립성을 보장하면서도 상위기획사의 든든한 후원을 받는 상호 협력관계인 셈이다.
|
탄탄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은 당연히 개성있는 '콘텐츠'라는 얘기다. 여기에 레이블 형태의 시스템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질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확실한 대안이다. 댄스음악이 주가 되는 아이돌 댄스그룹 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다 보니 색다른 콘텐츠를 찾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었고, 아이돌 중심으로 사세를 확장해온 대형기획사들은 시스템을 재정비하기 시작했다.
|
케이팝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국내 음악시장을 넘어 세계 글로벌 음악시장을 대비해야 할 시점에서 기획사의 레이블 체제는 결국 '윈윈' 전략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아티스트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색을 지키면서도 제작, 홍보 등 이미 구축된 시스템 안에서 음악에만 집중할 수 있고, 기획사는 장르적으로 전문적인 레이블을 통해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획일화된 가요계에 큰 자극이 되기도 한다. 기존 가요계가 다루지 않았던 장르의 시장을 넓히는 계기가 되고, 자본으로 인해 지속성을 갖는 것이 힘든 언더그라운드에도 서로 윈윈 효과가 되는 셈이다. 사업의 규모와 조직구성에 있어서도 경쟁력을 키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부익부 빈익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대형기획사들의 몸집 불리기가 자칫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중소기획사의 설 자리를 빼앗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입장에서 보면, 레이블 체제는 자본의 논리에 따라 대기업의 배만 불릴 수 있는 기형적인 구조로 전락할 수도 있다. 질 높은 컨텐츠를 생산해낸 중소 제작사나 기획사가 대형 엔터테인먼트로 흡수되는 현상이 지속되면 중소기획사의 제작의지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대형기획사가 모든 것을 장악하게 되는 형태로 음반시장이 고착화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대형 기획사들이 산하 레이블 체제로, 언더그라운드의 레이블을 영입하면서 언더그라운드에서만 가능했던 표현이나 인디씬에서 형성된 특유의 분위기가 위축되는 면이 있을 것이다. 오버와 인디씬의 영리한 공생을 고려해 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다.
엔터테인먼트 레이블 체제의 목표는 음악적으로 자율성을 보장하고 시장지배력을 강화하는데에 있다. 이미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성공한 모델로 자리잡은 만큼, 사례를 기반으로 기획사들 모두 먼 미래를 두고 장기적 시스템을 구축해가는 모양새다. 케이팝의 경쟁력은 결국 다양한 장르음악이 고루 발전할 수 있는 균형잡힌 시스템에 있다.
hero16@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