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닷컴 이지현 기자] JMS, 달박골 청년은 어떻게 교주가 되었나?
1990년대 초반 JMS에 입교했다는 임초희(가명) 씨. 그녀는 정 총재가 말레이시아와 중국 등에서 도피할 당시, 여러 명의 여신도와 함께 정 총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고백했다. 그녀에 따르면, 1999년 이전 '본부'나 '보고자'로 불리던 정명석의 여자들이 언론 보도에 노출되자 새롭게 만들어진 여신도 부서가 '월성'이었으며, 이 '월성'은 새로운 여성을 발굴하고 관리해 정 총재에게 공급하는 역할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차기 '월성'이 될 만한 신입생 여신도 집단을 '상록수'라고 불렀다는 것. 특정 신체조건을 갖춰야 하며, 결혼하지 않고 정 총재를 위해 사는 여신도들로 불렸던 '월성'과 '상록수'의 실체는 무엇일까?
JMS의 시작인 '신촌 5형제'와 '후계자'는 누구인가
2000년대 초반 2인자였던 안 부총재가 JMS를 떠난 후, 200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드러낸 여신도가 있었다. 정 총재의 성 추문에 대해 무고함을 설파하며 총재가 부재한 상황에서도 JMS 교단을 강화해온 그녀는, 현재 JMS의 실질적인 후계자이자 '성령상징체'로 불리는 정조은 목사. 그런데 피해자들은 정 목사가 정 총재에게 여신도들을 끊임없이 연결시켜줬고, 정 총재의 성범죄를 방조했다며 그녀를 공범으로 의심한다.
'정 총재의 수난에 대한 산 증인'을 자처하던 정조은 목사는 돌연 입장을 바꿨다. 자신은 정 총재를 고소한 피해자들을 잘 몰랐으며, 여신도들에 대한 정 총재의 성범죄를 막으려 나름 노력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18일 성범죄 방조 혐의로 구속기소 된 정조은 목사. 그녀는 대체 누구이며, 그녀를 둘러싼 논란의 진실은 무엇일까?
22일, 특집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여러 세대를 거쳐 진화해온 JMS 왕국의 과거와 현재를 낱낱이 파헤친다. 또한 알려지지 않은 정명석 총재의 성도착적 행위를 폭로하는 한편, 2인자 및 조력자들 취재를 통해 JMS 교단이 숨겨온 비밀을 추적한다. 이번 방송은 평소보다 한 시간 이른 밤 10시부터 2시간의 특집 편성으로 시청자들을 찾아간다.
olzllove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