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정혁 기자]홍경도 열지 말아야 할 그 문을 열었다. 김태리에게 붙은 악귀의 서늘한 미소 엔딩이 소름 돋는 긴장감을 절정으로 끌어올렸다.
한편, 집안이 만든 악귀를 제 손으로 없애겠다고 다짐한 해상(오정세)은 백차골로 향했다. 객귀가 된 딸을 불러들이기 위해 박씨 할머니(이용이)가 그랬던 것처럼, 장승에 자신의 피로 글씨를 써 귀신길을 내고, 강모 귀신을 불러들여 그 방법을 알아내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다 실신한 해상은 깨어나서도 방 한 켠에 웅크리고 앉아 넋을 잃은 것처럼 한 곳만 바라봤다. "어두운 곳을 계속 바라보면 어둠이 커지고, 결국 그 어둠에 깔려 집어삼켜져 버린다"는 귀신, '어둑시니'에 잠식된 것이다.
백차골 이장(이용석)의 연락을 받고 달려온 산영은 해상을 살리기 위해 '계마곶'으로 향했다. "해가 가장 먼저 비쳐 귀신들이 싫어하는 동쪽으로 가고 있었다"는 해상의 어머니처럼, 어둠의 반대, 햇볕을 찾아간 것이다. "당신은 아니야"라고 소리치는 산영의 힘겨운 사투 끝에, 해상의 정신이 돌아왔고, 때마침 동이 텄다. 산영은 그제야 악귀를 만든 게 해상의 잘못이 아니란 걸 알면서도 풀 수 없었던 마음에 대해 털어놓았다. 그리고 밤이 되자 더 거세게 자신을 뒤쫓아오는 어둑시니를 보며, 귀신이 보이는 해상이 얼마나 무섭고, 두렵고 슬펐을 지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해상은 가족이 저지른 죄를 이런 방식으로 속죄하고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악귀와 관련된 다섯 개의 물건에 대한 해상의 설명을 들은 산영은 혼란에 빠졌다. 그렇다면 강모도, 해상의 어머니도 악귀를 없애는 방법을 알았다는 의미인데, 두 사람 모두 실패한 점이 이상했기 때문이다. 그 때, 산영에게 또다시 악귀의 시선으로 무언가 보였다. 바로 강력범죄수사대가 있는 경찰서 건물이었다. 악귀가 이곳을 찾아갈 것이란 사실을 직감한 해상은 문춘에게 전화를 걸어 "누가 문을 두드려도 절대 열어주지 말라"고 신신당부하며, 산영과 함께 다급히 경찰서로 향했다.
그 시각, 강수대 사무실엔 문춘과 홍새(홍경)가 함께 있었다. 1958년부터 이어진 이상한 자살 사건에 패턴을 발견한 두 사람이 각각 이목단 사건과 중현캐피탈 관련 인물 사망 사건을 조사하고 사무실로 복귀했던 것. 그때 해상의 경고대로 문을 두들기는 소리가 들렸다. 하지만 뒤이어 "염해상입니다"라는 목소리에 괜히 놀랐던 가슴을 쓸어내린 문춘의 지시로 홍새가 열지 말아야 할 그 문을 열고 말았다. 홍새 앞엔 "문을 열었네?"라며 서늘한 미소를 띈 산영에게 붙은 악귀가 서있었다.
악귀의 시선으로 경찰서 건물을 보고 두려움에 휩싸인 산영은 "또 시작됐어요. 또 사람이 죽을 거예요"라고 예고했다. 그리고 첫 회 보이스피싱범부터 해상의 어머니까지, "문을 열었네?"라는 악귀를 본 누군가는 반드시 목숨을 잃었다. 악귀가 보낸 죽음의 싸인이 이번에는 누구를 향할지, 안방극장이 불안감이 폭발했다. '악귀'는 매주 금, 토 밤 10시 SBS에서 방송된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