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정빛 기자] 배우 임지연(33)의 10년 기다림이 통했다.
임지연은 이어 "특별한 계기가 있었다기 보다는, 저는 젖을 시간이 없는 것 같다. 저는 스스로 주어진 것들이 너무 많았고, 그게 그냥 나오는 게 아니라, 좋은 작품을 하고 싶다면 또 얼마나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는 것을 이제는 안다. 저 노력파다. 노력을 해도 될까 말까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무섭기도 하고 그렇다"며 "늘 고민과 불안함을 떨치려 노력했다. 항상 해왔듯 내가 똑같이 열심히 해온 작품 중에 하나가 잘됐을 뿐이지, '잘된 작품에 잘되는 것만 해야 해. 연진이처럼 강한 것만 해야 해'라는 생각은 버리자고 생각했다. 항상 해왔고, 앞으로도 해나갈 것이고, 그중에 하나가 잘 된 것이라 생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글로리' 이후 모든 선택에 대한 칭찬이 쏟아지고 있다. '마당이 있는 집'의 음울한 추상은에 이어 '국민사형투표'의 주현까지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며 진정 '물이 올랐다'는 호평을 받는 중이다. 임지연은 "'마당' 때는 '더 글로리'가 나오기 전이었고, 소설에 꽂혀서 추상은으로 너무 하고 싶었다. 꽂힌 것만큼 잘하고 싶더라. 활자로만 표현돼 있던 인물을 내가 잘 연기해내서 그대로 느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매력적이었고, '이걸 어떻게 하지'하며 만드느라 정신적으로 힘들기도 했다. '마당'은 사실 기댈 곳도 없고, 혼자 하는 신이 많고 어두웠다. 상은이는 우울함의 끝판왕이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
임지연은 '진짜 이걸 한다고?' 싶은 의외의 선택을 이어갈 전망이다. 당장 '국민사형투표'의 종영과 영화 '리볼버'의 촬영 종료 후에는 개인적인 휴식과 정비 시간을 갖는다. 물 들어올 노를 젓는 게 아니라 휴식을 택한 셈이다. 임지연은 "제 성격이 그런 것 같다. 작품이 재미있고, 하게끔 만드는 힘이 생겨서 내가 하고싶어야 하고, 이 작품이 어쩌고 저쩌고, 캐스팅이 어떻고, 판이 어떻고. 하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냥 '내가 하고 싶어? 지금이야? 그럼 해!'하는 그런 느낌이다.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사람들이 '와 다음 작품을 이걸 한다고?'하는 그런 것들, 그런 얘기를 계속 들을 것 같다"고 말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