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안소윤 기자] '노량:죽음의 바다'가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의 피날레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
김 감독은 "사실 노량해전을 구현하면서 용기가 없을 때도 있었지만 극복해 나갔다"며 "단순히 스케일을 키운 치열한 전쟁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 아닌, 그 전쟁의 중심에 있는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따라가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약 100분에 달하는 롱테이크 해전신에 대해선 "3국 병사들의 난전과 아우성, 아비규환 속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모습을 온전히 보여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
이어 "'노량'에는 7년 전쟁의 모든 것이 들어가 있다. 그 7년 전쟁의 끝뿐 아니라 7년 이후에 장군님의 생각, 또 이 전쟁을 끝내고 이 다음의 어떤 영향력으로 후손들에게 정신을 물려줬는지에 대해 생각을 했다"며 "제가 그걸 얼마나 설득력 있게 대사로 만들어가는지가 중요했기 때문에, 감독님과 대화를 많이 나눴다. 저는 믿고 따르고 싶은, 그리고 더 외로워진 이순신 장군님을 표현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또 연기를 아무리 잘해봐야 본전이라는 생각을 했다는 그는 "외국 영화들을 보면 '덩케르크'도 그렇고, 수십 편이 같은 내용인데, 배우들과 감독들이 계속 바뀌어서 올라온다. 저도 어렸을 때 김진규 선생님께서 이순신 역할을 연기하신 '성웅 이순신'을 단체 관람했었다. '잘해봐야 본전이다'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고, 영광스럽지만 부담스러운 역할"이라며 "그래서 내려놓고 또 내려놓으면 장군님의 실체가 겨우 느껴지는 정도다. 뭔가 기를 쓰고 잘해내겠다는 생각을 하기 보다는, '명량'과 '한산:용의 출현' 속 이순신 장군님의 모습을 고스란히 머릿 속에 담아 연기를 했다. '노량' 이후에도 저보다 더 뛰어난 연기자가 또 다른 감독님과 함께 이순신 장군님의 역할을 계속 이어지게 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드러냈다.
|
백윤식은 악명 높은 살마군을 이끄는 왜군 수장이자, 최고지휘관 시마즈로 분했다. 극 중에서 일본어 대사를 소화해야 했던 그는 "외국어 제작 과정에 시나리오를 봤을 때, 분량이 얼마 안 되는 줄 알았다. 근데 제작사에서 외국어 선생님을 정해놓고 공부를 시키는데, 그때부터 분량이 보통이 아니구나 했다. 그래도 배우이니까 분량만 가지고 생각할 순 없지 않나. 감정선이 전달되어야 하니까 열심히 일본어 대사 공부를 했다"고 준비 과정을 떠올렸다.
|
|
|
안소윤 기자 antahn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