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근대 시기에 만들어진 공예품을 통해 전통의 멋과 의미를 생각해보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재단과 서울공예박물관, 통영시립박물관이 소장한 근대 시기 공예품과 동시대 작가 11명이 전통 기술을 바탕으로 새롭게 작업한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다.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미술품제작소가 제작한 나전 칠 꽃·나비무늬 찬합, 섬세한 무늬가 돋보이는 한성미술품제작소의 은제 꽃무늬 신선로 등이 공개된다.
한국 현대 옻칠 예술의 선구자로 통영옻칠미술관을 설립한 김성수(1935∼2025)의 '3색으로 융합', 김봉룡(1902∼1994)이 정교하게 만든 나전 과반(果盤·과실 따위를 담는 쟁반) 등도 감상할 수 있다.
조선 전기 화가 안견(1410년경∼1464 이후)의 대표작 '몽유도원도'를 나전칠기 기법으로 재해석한 김종량의 '신몽유도원도-나전'도 눈여겨볼 만하다.
재단 관계자는 "전통 공예의 의미를 탐구하며 현대 사회에서 잊히거나 변질되어 가는 전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에 질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9월 30일까지.
ye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