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 지원 절실…서울만 부각될 '주객전도' 우려는 여전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도전하는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뛴다.
전북도는 하계올림픽 도전 경험이 있는 서울을 등에 업고 국가 차원의 지원도 받으면 최종 유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8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전북도는 최근 물밑 협의를 거쳐 서울을 '연대 도시' 명단에 넣었다.
연대 도시는 기존의 국내 경기장을 활용해 비용을 낮추고 효율은 끌어올리는 올림픽 유치 전략으로 대구, 광주, 충남 홍성, 충북 청주, 전남 고흥 등 올림픽을 함께 치르는 도시를 말한다.
여기에 지난 2월 국내 후보 도시 경쟁에서 전북에 고배를 마신 서울까지 끌어안아 사실상 전국을 올림픽 무대로 삼는 셈이 됐다.
김관영 도지사는 국내 후보 도시 경쟁에서 서울을 꺾은 직후 서울과 공동 개최 가능성을 일축하면서도 "(연대 도시 전략의) 틀을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지난 7월에는 김 도지사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만나 올림픽 유치를 위한 연대와 협조를 공식 요청하기도 했다.
사실상 1988년 올림픽을 치른 경험과 2019년 2032 하계 올림픽을 준비한 경험을 흡수해 전주 하계올림픽의 능력치와 덩치를 키우는 전략이다.
특히 서울에는 매머드급 규모인 상암월드컵경기장, 고척스카이돔 등이 있어 많은 선수와 관람객을 수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전북처럼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인도, 카타르 등의 도시와 세계 무대에서 경쟁할 때도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서울은 든든한 우군이다.
전북도는 서울에서 테니스, 배구, 핸드볼 등 5개 종목의 경기를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여러 차례 강조한 '경제성'을 위해 기존 경기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경기장 신설 계획은 백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올림픽에 들어갈 총사업비도 9조원가량으로 전망했으나 이를 40% 이상 감축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
도는 경기장 배치 계획, 재정 계획을 다듬어가는 동시에 국가 차원의 지원을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새 정부 들어 전북의 시급한 현안 중 하나로 적극적으로 요구한 것도 정부 주도의 올림픽 유치지원위원회 구성이다.
전북도는 국가적 스포츠 이벤트인 올림픽 유치를 정부가 뒷받침하면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아직 윤곽은 보이지 않는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서울이 연대 도시로 합류해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겠으나 여전히 '주객전도'의 우려는 남는다.
서울보다 국제 인지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전북이 서울과 손을 잡으면 서울만 부각되는 역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서울이 연대 도시로 포함된 것은 맞지만 변동 가능성은 언제나 있다"며 "선수촌·미디어촌 조성 계획, 올림픽 주요 관계자 숙박 계획 등도 조만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