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당 본부청사 '추모의 벽'에 전사자 초상 101개…국정원은 과거 "전사자 600명"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눈물을 흘리며 전사자 초상을 어루만지고 유족을 위로하는 모습을 보이며 애민 지도자의 모습을 부각했다.
인민군 해외작전부대 지휘관, 전투원들에 대한 국가표창수여식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진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수여식 연설에서 파병군의 승리가 "인민군의 위대한 명예를 굳건히 수호하고 우리 국가존립과 발전에 확고한 담보를 마련한 거대한 공적"이며 "세계전쟁사의 사변"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백전백승 조선인민군의 명성이 70여년 역사에서 가장 엄격한 검증을 받았으며 전쟁에 만반으로 준비된 우리 군대의 실상이 뚜렷이 확인됐다"며 "이제는 그 어느 나라 군대든 우리 군대와 맞붙으면 무주고혼의 신세를 면치 못한다는 것이 정설"로 됐다고 극찬했다.
그는 파병이 "조국의 운명과 장래를 위하여 당과 정부가 내린 정치적 결단"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파병을 평가하며 "승리적 종결"을 언급했으나, 쿠르스크에서 전투에 임했던 북한군의 철수 시기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그는 또 "우리의 적수국들은 조선반도지역의 안전형세를 균형잡고 있는 우리 국가의 지위와 강세를 어떻게 하나 허물어보려고 위험한 기도를 더더욱 노골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환경은 우리에게 방심할 여지를 주지 않으며 우리 군대의 보다 완벽하고도 압도적인 대비를 요구하고 있다"며 "공화국 무력의 최정예화, 최강군화, 전쟁준비 완성"을 위해 추진해야 할 중대과업을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날 수여식에는 공훈을 세운 지휘관, 전투원들과 전사자 유족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평양에 전투위훈기념관과 전투위훈비를 건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훈을 세운 부대원들에게 공화국영웅칭호를 수여하고 전사자들의 초상 옆에 공화국 영웅 메달을 직접 달아줬다.
참전 군인들에게 표창을 수여하며 얼굴을 어루만지고 포옹했으며, 수여식이 열린 당 중앙위 청사에 세워진 추모의 벽에 부착된 전사자 초상에 메달을 달면서도 초상을 쓰다듬었다.
추모의 벽에 걸린 초상화의 수는 총 101개로, 이들이 전사자 전원인지는 북한 보도에선 언급되지 않았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 국회에 북한군 피해는 전사자 600명을 포함해 총 4천700명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추모의 벽에 헌화한 유족을 향해 허리를 깊이 숙여 감사를 표하고, 전사자의 자녀로 보이는 어린이들을 끌어안고 눈시울을 붉힌 채 다독이기도 했다.
파병 부대원의 위훈을 축하하는 공연과 유족을 위로하는 연회도 열렸다.
통신에 따르면 4·25문화회관에서 열린 공연에는 김 위원장도 참석해 관람했다. 북한 매체엔 물기 어린 눈으로 영상물을 관람하는 김 위원장 사진이 실렸다.
김 위원장이 이처럼 대대적인 보훈행사를 연 것은 참전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내부 결속을 도모하는 한편 파병 장기화와 대규모 사상자 발생에 따른 군의 사기 저하와 민심 이반도 차단하기 위한 의도로 평가된다.
tre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