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태용호의 리우 전략은 '공격 앞으로'다.
신 감독은 공격진에 7명을 선발했다. 다재다능한 선수들을 대거 포함시켰다. 특히 황희찬 손흥민 류승우 문창진 권창훈은 2선 어디에서든 뛸 수 있는 선수들이다. 신 감독은 상대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구성할 계획이다. 이 부분은 런던올림픽 때와 비슷하다. 홍명보 감독은 구자철 김보경 남태희 지동원 백성동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며 포메이션에 변화를 줬다. 공격진의 뒤를 커버해줄 수 있는 수비형 미드필더 숫자는 2명(박용우 이찬동)이다. 하지만 공격과 수비형을 모두 겸할 수 있는 이창민도 있다. 베이징올림픽(4명), 런던올림픽(3명)과 비슷한 숫자다.
수비진은 중앙을 두텁게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골키퍼는 역대 대회와 마찬가지로 2명(김동준 구성윤)을 뽑았다. 차이가 있다면 센터백이다. 송주훈 최규백 정승현에 센터백으로 뛸 수 있는 장현수와 박동진까지 포함하면 5명으로 늘어난다. 애틀랜타올림픽, 시드니올림픽, 아테네올림픽이 5명의 센터백을 데려갔지만 당시 한국의 주력 수비전술은 스리백이었다. 신태용호가 포백을 주로 구사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많은 숫자다. 중앙이 두텁다보니 상대적으로 측면은 얇아졌다. 전문 윙백이 심상민 이슬찬 밖에 없다. 물론 장현수가 윙백으로 뛸 수 있지만 공격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세밀한 부분 전술을 만들 수 없는 국제무대에서는 측면이 중요하다. 런던올림픽 당시 홍명보 감독은 윤석영 오재석 김창수 3명의 전문 윙백에 3명의 센터백(김영권 김기희 황석호)도 모두 윙백이 가능한 선수들로 데려갔다. 최소 3명 이상의 윙백을 데려갔던 역대 올림픽 최종 엔트리와 비교해도 부족해보인다. 심상민 이슬찬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