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20 월드컵 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린다.
FIFA는 지난 5회의 FIFA U-20 월드컵 대회(2007, 2009, 2011, 2013, 2015년)에서 획득한 점수(승-3점, 무-1점, 패-0점)에 따른 순위로 24개팀을 4개 포트(팀 포트)로 배정했다. 최근 대회 성적에 더 많은 비중을 두기 위해, 5개 대회에 20%의 차등을 두고 가중치가 부여된다.(2015년=100%, 2013년=80%, 2011년=60%, 2009년=40%, 2007년=20%) 본선 진출을 위한 대륙별 예선에서 우승한 팀에겐 5점의 추가점수가 더해진다.
위의 방식으로 정해진 순위를 바탕으로 개최국과 최상위 5팀이 1번 포트에 자리했다. 그 결과 개최국 한국과 포르투갈, 우루과이, 프랑스, 미국, 독일이 1번 포트에 포진했다. 차순위 팀들은 6개 팀씩 각각 2번~4번 포트에 나뉘어 배정된다.포트 2에는 멕시코, 아르헨티나, 뉴질랜드, 세네갈, 일본, 코스타리카가, 포트 3에는 잠비아, 온두라스, 잉글랜드, 사우디 아라비아, 이탈리아, 베네수엘라, 포트 4에는 에콰도르, 남아공, 이란, 베트남, 기니, 바누아투가 이름을 올렸다.
▶최악의 조편성은
아르헨티나, 멕시코, 이탈리아, 잉글랜드가 포트 1에서 제외됐다. 만만치 않은 조가 나올 확률이 높아졌다. 특히 '우승후보' 아르헨티나, 이탈리아와 한 조가 될 경우 사실상 톱시드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된다. 조 1위로 통과하기는 했지만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도 '당시 우승후보'였던 포르투갈과 함께 D조에 속하며 마지막까지 속을 썩인 바 있다.
포트 2의 멕시코, 아르헨티나, 포트 3의 잉글랜드, 이탈리아, 포트 4의 에콰도르, 남아공과 한조에 속하면 그야말로 최악의 조추첨이다. 아르헨티나는 U-20 월드컵 최다우승국(6회)이며, 이탈리아는 토너먼트에서는 언제나 강하다. 포트4의 두 팀이 상대적으로 괜찮아 보이지만 연령별 대회에서 남미와 아프리카는 요주의 대상이다. 대륙별 배정 원칙에 맞춰 아르헨티나-이탈리아(잉글랜드)-남아공, 멕시코-이탈리아(잉글랜드)-에콰도르와 같은 조가 된다면 16강 여정이 쉽지 않아진다. U-20 월드컵은 와일드카드로 조 3위까지 16강행이 가능하지만 이마저도 어려워진다.
▶최상의 조편성은
최상의 조를 위한 전제조건은 유럽팀을 피하는 것이다. 대륙별 배정 원칙에 비추어보면 확률상 가능하다. 포트 1에서는 비유럽팀이 3팀이다. 포트 2~4 중 남은 유럽팀이 2팀(이탈리아, 잉글랜드)인만큼 유럽팀 없이 조를 꾸릴 수 있다.
해볼만한 상대는 있다. 포트 2에 뉴질랜드, 코스타리카, 포트 3에 잠비아, 온두라스, 포트 4에 기니, 바누아투는 전력이나 심리적인 면에서 우리가 우위에 점할 수 있는 팀들이다. 가장 최상의 조는 코스타리카-잠비아-바누아투와 속하는 것이다. 특히 바누아투는 이번 대회 최약체로 꼽힌다. 확실한 1승 제물이 주는 효과는 분명하다.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한국은 피지와 한 조에 속해 8대0 완승으로 분위기를 올린 경험도 있다. 아니면 뉴질랜드-온두라스-기니도 나쁘지 않다. 아프리카 변수가 있는 기니가 미지수이기는 하지만 뉴질랜드, 온두라스는 분명 정면 승부를 펼칠 수 있다.
연령별 대회에서는 첫 경기 결과가 중요한데 코스타리카, 뉴질랜드는 이름값에서 우리 젊은 태극전사들이 심리적 부담감을 떨칠 수 있는 팀이다. 특히 U-20 월드컵은 조 3위까지 16강에 갈 수 있다. 1승의 가치가 크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