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비렉스 니가타는 지난 2004년 J1 승격 이후 14년 만의 강등을 눈앞에 두고 있다. 니가타에서 활약 중인 송주훈은 지난 10월 A매치 2연전에 차출된 바 있다. 사진출처=알비렉스 니가타 구단 홈페이지 |
|
'가을의 희비'는 한-일 양국의 공통점이다.
우승의 환호와 강등의 절규가 교차한다. 26일 현재 팀당 4경기씩을 앞둔 J1(1부리그)의 윤곽도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우승보다는 강등팀이 먼저 결정될 모양새다. 30경기서 3승(7무20패)에 그친 알비렉스 니가타가 이번 주말 사선에 선다. 니가타는 안방에서 갖는 사간도스전에서 비기거나 패하면 다음 시즌 J2(2부리그) 강등이 확정된다. 1999년 프로로 전환해 2004년 J1으로 승격한 이래 줄곧 톱리그 자리를 지켜왔던 니가타는 14년 만에 다시 2부행의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처지다.
니가타는 강등이 확정될 경우 약 47억원을 손에 쥔다. J1이 규정하는 균등 배분금 3억5000만엔(약 34억원)에 '강등 지원금' 1억3000만엔(약 13억원)을 보너스로 받는다. 균등배분금은 올 시즌에 J1에 참가했던 18팀이 TV중계권료 등을 동일하게 나눠 받는 수익이다. 강등지원금은 J1 16~18위로 강등이 결정된 팀들에게 선수-스폰서 유출 등으로 악화될 수 있는 팀 재정을 돕기 위해 주어지는 '구호금'의 성격이다. 10년 간 2조원이 넘는 '중계권 대박'이 터졌기에 주어질 수 있는 혜택이다.
 |
◇J리그는 다음 시즌부터 선수 유니폼 가슴 상단에도 스폰서 노출을 허용하도록 결정했다. 이에 따라 시민구단 뿐만 아니라 기업구단들도 수익 증대를 위해 스폰서십을 추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FPBBNews = News1 |
|
하지만 J리그는 여전히 새로운 수익원 창출에 목을 매는 모습이다. 다음 시즌부터는 '쇄골 스폰서십'까지 도입될 예정이다. 일본 스포츠지 스포츠호치는 25일 'J리그 실행위원회가 가슴 상단(쇄골) 부분의 스폰서십 부착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J리그 팀들은 유니폼 전면과 뒷면 등번호 상단 뿐만 아니라 소매와 바지에 스폰서십을 허용했다. 스포츠호치는 '가슴 상단 스폰서십 허용은 2~3부 뿐만 아니라 1부 팀들도 오래 전부터 요청해 온 부분'이라며 '구단 홈페이지 뿐만 아니라 각종 매체에 선수 얼굴과 함께 노출되어 광고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며, 스폰서십 비용 역시 1억5000만엔(약 15억원)에서 2억엔(약 20억원) 사이가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기업구단은 물론 시민구단의 스폰서가 100여개가 넘는 J리그 팀들이 수익창출에 안간힘을 쓰는 이유는 뭘까.
 |
◇J리그는 지난 2013년부터 모든 클럽을 대상으로 리그 라이센스 심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중 A등급 항목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1부 라이센스가 발급되지 않는다. ⓒAFPBBNews = News1 |
|
지난 2012년부터 도입된 클럽 라이센스제의 영향이다. J리그는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정한 경기, 시설, 인사, 법무, 재무 등 5개 항목 외에 A, B, C등급의 57개 하위 항목을 평가한 라이센스 제도를 시행 중이다. 아무리 성적이 좋아도 라이센스가 없으면 승격 불가는 물론 리그 퇴출까지 감수해야 한다. 라이센스를 갖고 있어도 매년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면 퇴출대상이다. 구단이 선수, 지도자 임직원 임금을 체불할 경우 곧바로 J1 라이센스가 박탈되어 리그 참가 자격을 잃는다. J1 소속인 사간도스는 지난해 2분기 연속 적자로 1부 라이센스 박탈 위기에 놓였다가 흑자로 전환해 기사회생 했다. 스폰서 지원, 리그 배분금 뿐만 아니라 자체적 수익으로 건전한 재무재표를 만들지 못하면 언제든 퇴출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J리그 팀들이 영업전선을 늘리려 하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
◇강력한 제도는 건전한 클럽 운영을 유도하는 자극제가 되고 있다. 불만의 목소리도 존재하지만 궁극적인 지향점은 투자와 발전이라는 점에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AFPBBNews = News1 |
|
건전한 클럽 운영은 리그 신뢰도도 높인다. 2부리그 대부분의 구단이 1부리그 라이센스를 갖추고 있고, 3부리그 일부팀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승강제의 안정적 운영 뿐만 아니라 방만한 클럽 운영에 리그 차원에서의 효과적인 대응도 가능하다.
'빡빡한 제도'를 향한 불만은 존재한다. 적자를 줄이려는 노력이 투자 위축의 부메랑으로 돌아온다는 지적이 매년 나오고 있다. 때문에 적자 규정을 없애거나 완화해 각 클럽이 보다 공격적인 경영에 나설 수 있도록 유도하자는게 요지다. 하지만 이런 목소리의 궁극적인 지향점도 '건전한 투자'를 향한다는 점을 생각해봐야 한다.
스포츠2팀 기자 ppark@sportschosun.com
▶'필살픽 줄줄이 적중' 농구도 역시 마감직전토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