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징계는 경남이 아닌 '정치'가 받아야 한다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19-04-01 08:16


경남 직원(동그라미)이 자유한국당의 유세를 맘춰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그간 경남은 여러차례 정치에 발목을 잡혔다.

각종 정치행사에 동원되는가 하면, 때마다 낙하산 인사로 곤혹을 치렀다. 홍준표 전 도지사는 아예 해체를 운운하기도 했다. 정치 불안 속 폐허가 됐던 경남은 김종부 감독과 프런트의 노력으로 가까스로 꽃을 피웠다. 지난 시즌에는 시도민구단 최초로 준우승을 차지하는 신화를 썼다. 올 시즌에는 조던 머치, 룩 등 거물 외인을 데려오며 흥행의 중심에 섰다. 하지만 본 궤도에 오르자마자 또 다시 '의도치 않은' 정치 역풍을 맞을 위기에 놓였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의원 등은 30일 4.3 보궐선거를 앞둔 경남 창원을 찾았다. 이날은 사전투표 마지막날이었다. 창원·성산 보궐선거는 최대 격전지로 꼽힌다. 민주당과 정의당이 후보단일화를 마치며 진보와 보수가 제대로 맞붙었다. 총선을 앞두고 있는 진보와 보수 진영은 창원·성산 지역 승리를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시즌 준우승의 돌풍을 일으키며 창원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은 창원축구센터는 보궐선거의 '미니 전쟁터'로 바뀌었다.

불똥은 어이없이 경남으로 튀었다. 황 대표가 경기장 안에서 유세활동을 펼친 것. 황 대표와 강기윤 후보는 경기장 내에서 자한당을 상징하는 빨간색 점퍼를 입고, V자를 그리며 지지를 호소했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축구장 내 정치적 행위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과 대한축구협회 역시 각각 정관 제3조와 5조를 통해 경기장 내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다. 연맹의 규정에 따르면 경기장 내에 정당명·기호·번호 등이 노출된 의상 착용이 금지된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연맹은 홈팀에 10점 이상의 승점 감점이나 무관중 홈 경기, 제 3지역 홈경기, 2000만원 이상의 제재금 부과 등의 중징계를 내릴 수 있다.

연맹 관계자는 일단 이 건에 대해 신중한 모습이었다. 이 관계자는 "1일 경기평가위원회가 경기감독관이 제출한 보고서를 받고서 논의할 예정이다. 해당 사건과 관련한 경남의 경위서도 받아야 한다"라며 "현재로선 상벌위원회 개최 여부를 언급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고의성 여부다. 예를 들어 구단이 나서 특정 정치적 행위를 한 경우에는 승점을 삭감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이번 케이스는 조금 다르다"고 했다.

상황으로 돌아가보자. 경기 전부터 경기장 주변은 각 정당의 후보자들과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거물 정치인들로 들썩였다. 이들을 수행하는 비서진과 취재진, 경찰 등이 큰 무리를 형성했다. 팬들이 오가는 게이트는 물론 선수단이 오가는 길목까지 모두 이들이 점령했다.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감지한 경남 프런트는 일찌감치 연맹에 규정 해석을 요청했다.

연맹으로부터 답변을 받은 경남 프런트는 직원들과 경호원들에게 주의 사항들을 고지시키고 대비에 나섰다. 하지만 막무가내였다. 게이트 주변에 있던 황 대표와 강기윤 후보는 경기장에 들어섰다. 티켓을 구입한 이들의 출입을 막을 수는 없는 터. 문제는 이들 중 일부가 표없이 진입한데다가, 이들이 경기장에 들어선 후 선거활동을 펼쳤다는 점이다. 경남 프런트는 곧바로 경기장 내 유세를 멈춰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입고 있던 자한당 점퍼를 벗어달라고 여러차례 요청했다.

하지만 이내 돌아온 것은 "어떤 규정을 근거로 우리를 막느냐"는 말이었다. 경남 프런트가 연맹의 규정을 근거로 다시 한번 요청을 하자, 황 대표는 그제서야 점퍼를 벗었다. 그러나 강 후보는 시늉만 했을 뿐, 끝내 점퍼를 벗지 않았다. 계속된 요청에도 보좌진은 "규정을 들고 와라"라는 말만 반복했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선거법'이지 '축구장 내 규정'이 아니었다. 경남 프런트는 이날 경기 내내 이곳저곳에서 정치인들의 유세를 막기위한 싸움을 이어갔다. 하지만 역부족이었다. 경찰까지 동원한, 거물 정치인을 구단 직원 신분으로 막아서기란 사실상 불가능했다.


물론 경기장 관리에 대한 책임은 경남이 져야 한다. 홈팀은 그럴 의무가 있다. 하지만 일부 정치인의 몰지각하고, 무책임한 행동까지 책임질 의무는 없다. 경남은 이들이 선거 운동을 하겠다는 어떤 사전 고지도 받은 적이 없고, 선거 운동을 위한 편의를 봐준 적도 없다. 구단 당사자도 아닌, 제 3자의 불법행위로 중징계를 받는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피땀흘려 싸운 선수단, 경남을 사랑하는 팬들이 입는다. 그 피해는 누가 보상할 것인가. 진짜 징계는 축구장 내 규칙을 우습게 알고, 축구팬들의 공간을 더럽힌 '정치'가 받아야 한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명품 커플 궁합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