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겉으로 보기에' 국내 심판계는 철저한 능력제 사회다.
이들을 평가하는 것은 심판평가관의 몫이다. 100여명으로 구성된 심판평가관은 전국 각지로 흩어져, 프로, 아마추어 경기 할 것 없이 모든 공식 경기의 심판들을 직접 평가한다. 이들의 평가에 따라, 심판들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빼어난 심판은 상위 리그로 올라가고, 그렇지 않은 심판은 하위 리그로 내려간다. 심판평가관 역시 이론, 비디오, 평가보고서 등 3가지 분야의 테스트를 진행해 매년 새롭게 꾸려진다. 적어도 이 시스템만 놓고 보면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인다.
|
당연히 심판위원장이라는 '왕관'을 향한 눈치싸움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다른 관계자는 "최근 축구계를 강타한 수원과 안양의 2022년 승강 플레이오프 VAR 유출 사건도 본질을 들여다보면 결국 심판위원장을 위한 암투"라고 설명했다.
결국 심판위원장을 중심으로 그 아래 심판위원, 분석관, 심판평가관 등이 거대한 카르텔을 이루고 있는게, 작금의 심판계다. 성공을 위해서는 소위 줄을 잘 서고, 잘 아부하는게 더 중요하다. 심판들의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심판들이 장난을 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없다"고 할 정도다. 구조적인 개혁이 불가피하다.
현장에서 말하는 해법은 '독일식 시스템'의 도입이다. 독일은 프로와 아마를 나누어 실무 위원장을 둔다. 프로 위원장은 판정의 통일성, 심판들의 능력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춘다. 아마 위원장은 프로에 어울리는 심판들을 육성하는데 모든 방향이 쏠려 있다. 이들을 총괄하는 것이 심판위원장이다. 눈여겨 볼 것은 심판위원장은 독일축구협회 부회장 중 비심판 출신이 주로 맡는다는 점이다. 심판계 카르텔에 휩쓸리는 대신 판정 자체에 집중하겠다는 생각에서다. 다른 관계자는 "독일식 시스템의 핵심은 한 사람에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우리가 곱씹어봐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