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 이제는 더 이상 '천덕꾸러기'가 아니라 '한국축구의 보물'이다.
팀내의 굳건한 신뢰를 확보한 파리생제르맹(PSG)의 이강인이 홈 팬들 앞에서 이번 시즌 리그1 첫 골을 터트리며 열광적인 환호를 이끌어냈다. 물론 팀의 승리로 이어진 선제 결승골이었다.
이강인은 23일 새벽(이하 한국시각) 프랑스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2025~2026시즌 프랑스 리그1 13라운드 르아브르전에 와의 2025~2026시즌 프랑스리그앙 13라운드 홈경기에 선발 출전해 전반 28분 선제 결승골을 터트리며 팀의 3대0 완승을 이끌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로써 이강인은 최근 3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는 동시에 이번 시즌 리그 첫 골까지 터트렸다. 이강인은 지난 4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바이에른 뮌헨과의 페이즈 경기에서 비록 1대2로 패했지만, 도움을 기록했다. 이어 10일 올랭피크 리옹과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3대2 승리를 이끌었다. 이번에는 직접 선제 결승골을 넣었다.
이강인의 골이 터지자 파르크 데 프랭스의 PSG 홈팬들은 열광했다. 이강인의 이름을 외쳤다. 최근 완전히 뒤바뀐 팀내 입지를 반영하는 장면이다. 이강인은 지난 여름 이적시장 기간에 팀의 유력한 매각대상으로 거론됐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아스널이나 스페인 프리메라리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 여러 팀들이 이강인을 원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마침 이강인도 새 기회를 찾아 팀을 떠날 듯 보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PSG 팀내에서 이강인의 입지가 그리 넓지 않았다. 루이스 엔리케 감독이 이강인을 백업 중에서도 백업으로만 기용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엔리케 감독이 막판에 마음을 바꿨다. 이강인을 '매각 불가'로 지정했다. 그리고 시즌 개막 후 이강인의 입지가 갑자기 넓어졌다. 계기가 있었다. 우스만 뎀벨레와 데지레 두에, 아치라프 하키미 등 이강인과 포지션 경쟁 관계에 있던 PSG의 핵심 선수들이 모두 부상을 당하면서 이강인의 중요성이 갑자기 커졌다.
이강인은 이런 절호의 기회를 그냥 흘려버리지 않았다. 이전보다 더욱 뛰어난 집중력을 선보이며 공격포인트를 꾸준히 올렸다. 결국 스스로의 힘으로 팀내 입지를 단단히 다졌다. 이제는 절대 무시할 수 없는 PSG의 핵심 자원이 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날 경기에서도 엔리케 감독은 이강인을 4-3-3포메이션의 우측 공격수로 선발 출격 시켰다. 중앙에 곤살루 하무스, 좌측의 이브라힘 음바예와 스리톱을 형성했다. 이강인에게 거는 기대감이 그대로 선발 포메이션에 드러나 있다. 스리톱 뒤로 세니 마율루와 주앙 네베스, 비티냐가 배치됐다. 포백은 워렌 자이르-에메리, 일리아 자바르니, 루카스 베랄두, 멘데스로 구성됐다. 뤼카 슈발리에 골키퍼가 나왔다.
이강인의 첫 골이 경기 분위기를 완전히 PSG 쪽으로 돌려놨다. 0-0으로 맞선 전반 28분이었다. 이강인은 상대 페널티 지역 오른쪽에서 경기 흐름을 읽고 있었다. 이때 반대편에서 오버래핑해 공격에 가담한 풀백 누누 멘데스가 크로스를 길게 올렸다. 이강인이 이걸 받아서 왼발 슛을 날렸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슛에도 이강인의 재치가 묻어 나왔다. 공은 방어를 위해 자세를 낮춘 상대 골키퍼의 다리 사이로 정확히 빠져나가 골망을 흔들었다. 이 골이 전반에 터진 유일한 골이자 이날의 결승골이었다.
1-0으로 전반을 마친 PSG는 후반 10분에 이강인을 불러들이고, 브래들리 바르콜라를 투입했다. 후반에 2골이 터졌다. 후반 20분에 네베스가 추가골을 터트렸다. 이어 후반 41분에 이강인 대신 들어간 바르콜라가 승리를 확실히 결정짓는 쐐기 골을 터트렸다.
이강인이 55분만에 교체된 이유는 27일로 예정된 토트넘 홋스퍼와의 챔피언스리그 페이즈 경기를 대비하기 위해라고 볼 수 있다. 이강인이 절대적으로 아껴 써야 하는 A스쿼드의 일원이 됐다는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