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폭력 피해 사례가 전반적으로 줄고 있지만, 초등학생 학교폭력 피해 비율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18일 '2016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올해 3월21~4월29일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대상으로 학교폭력 실태에 대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재학생 456만명 중 423만명이 참여, 지난해 9월부터 조사 시점까지 학교폭력 관련 경험에 대해 답했다.
피해 학생 감소는 전체 학생 수 감소에 따른 '착시 현상'이란 지적에 대해 교육부는 전체 학생 수 감소율(-4.0%)이나 조사 참여 학생 감소율(-3.8%)보다 피해 응답 학생 수 감소율(-11.4%)이 상대적으로 큰 만큼 피해 학생이 주는 추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해를 당했다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 2.1%(2만6천400명), 중학교 0.5%(7천100명), 고등학교 0.3%(5천200명)로 나타났다.
지난해 1차 조사 때와 비교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씩 감소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는 0.1%포인트 증가했다. 초등학생은 전체 피해학생의 67.9%를 차지했다.
초등 4학년 피해 응답률은 3.9%로 5학년(1.6%), 6학년(0.9%)보다 높았다.
교육부는 중·고교보다 초등학교 피해 응답률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초등학생 맞춤형 학교폭력 대책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이 34.0%로 가장 많았다. 집단따돌림(18.3%), 신체폭행(12.1%)이 뒤를 이었다.
학교폭력 장소는 '교실 안'(41.2%)과 복도(10.9%) 등 주로 학교에서 이뤄졌다. 가해자는 '같은 학교 같은 학년 학생'이라는 응답이 67.4%를 차지했다.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은 0.4%(1만6천명)로, 지난해 1차 조사 때보다 0.06%포인트(3천명) 줄었다.
피해 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했다는 학생은 80.3%로 지난해 1차 조사 때보다 0.7% 포인트 늘었다.
학교폭력을 목격 뒤 알리거나 도와줬다는 응답은 87.3%였다. <스포츠조선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