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을 내년부터 도입하는가 하면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도입을 내년 하반기로 앞당기는 등 빚내기를 전반적으로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다주택자가 적은 돈을 들여 전세를 끼고 집을 사 시세 차익을 노리는 '갭 투자'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당초 금융위원회가 추진해온 DTI규제 전국확대는 주택담보대출의 63%가 수도권에 집중돼있고, 8·2대책 이후 부동산 가격이 일부 재건축 시장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안정됐다는 판단에 따라 추후 검토하기로 했다.
여기에 내년 하반기부터 DSR이 조기 도입되면,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으로 나눈 지표를 기준으로 대출액을 산정하게 돼 대출이 더욱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현재 14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의 증가율을 0.5∼1.0%포인트 낮춰 지난 10년(2005~2014년)간 연평균증가율인 8.2% 수준 이내로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연간 증가규모를 10조∼20조원 낮춰 올해 연말 가계부채 잔액을 1450조∼1460조원 내에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전방위로 대출을 조이는 대신 상환능력이 부족한 취약가구나 생계형 자영업자 등은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6∼9% 수준인 연체 가산금리를 3∼5%로 인하하고, 상환불능 가구의 1000만원 이하 10년 이상 소액연체 채권은 대부업체 자율이나 금융회사의 출연·기부를 활용해 소각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생계형 자영업자 등 중신용자를 위해서는 1조2000억원 규모의 '해내리 대출'을 통해 저리 정책자금 대출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