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고령화 사회가 도래한 것은 물론 저출산 문제까지 겹치면서 인구 절벽 리스크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심각한 인구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되어 사회적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저조한 출산율의 주 원인으로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난임 및 불임 사례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이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 및 여성 한의원 등의 진료를 권한다. 다만 난임, 불임이란 암초를 만난 부부들의 경우 해결책만 찾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중요한 점은 불임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다. 특히 여성의 난소 기능 및 배란 촉진 기능 하락도 문제지만 남성의 정자활동성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여성 불임은 배란장애, 자궁관(나팔관) 폐쇄, 자궁 구조의 이상, 난관결찰술 등 피임 시술 과거력, 자궁근종 등 자궁질환의 발병 등이 있다. 남성 불임은 고연령, 잦은 흡연과 과음, 정자 이상의 원인이 되는 정계정맥류, 혈압치료제 등의 약물 복용, 고환 관련 질환 또는 수술 경험 등이 꼽힌다.
조경이란 월경을 고르게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자궁과 난소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고 임신 및 출산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양정은 남성 생식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다지고 신체 상태를 충실히 하여 건강한 아이를 임신할 수 있는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임을 겪고 있는 부부라면 양방적인 기초 검사를 통하여 불임 원인을 파악하고 한의학적 진단 및 변증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살펴야 한다.
경희보궁한의원 강남지점 박성우 원장은 "건강한 임신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건강한 수정란이기 때문에 난소 기능 강화를 위한 침 치료, 한약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라며 "또한 자궁질환이 나타난 경우 자궁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궁단, 좌훈요법 등을 적용하여 질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건강한 착상 환경 조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