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둘만 지내는 경우보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부부의 한 달 소비지출액이 141만원 정도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부부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9%, 38만9000원)에 가장 많은 돈을 썼다. 이어 교통비(14.5%, 33만3900원), 음식·숙박비(12.3%, 28만2100원), 주거·수도·광열비(11.2%, 25만7400원) 등의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부모 중 한 명이 홀로 18세 미만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이른바 '한부모 가정의 월평균 소비 지출액은 219만300원이었다.
한편 가구원 수에 따라 분석해보면 1인 가구는 137만3100원, 2인 가구는 222만3200원, 3인 가구는 310만1300원, 4인 가구는 379만7900원, 5인 이상 가구는 419만7600원이었다.
가구 규모에 따라 가장 지출 중이 큰 항목을 보면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비(18.1%), 2인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3%)인 반면, 3인 이상은 교통비(3인 가구 15.0%, 4인 가구 15.5%, 5인 이상 14.2%)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에 외식비를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본 포괄적 식비는 가구원 수와 관계없이 모두 월 소비 지출액의 25%를 넘었다.
아울러 1인 소비 지출액(가구의 월 지출액을 가구원 수로 나눠 계산한 수치)을 계산하면 1인 가구 137만3100원, 2인 가구 111만1600원, 3인 가구 103만3800원, 4인 가구 94만9500원으로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1인 평균 지출액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