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이상 가계의 소득증가와 비교해 소비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거비 상승 등 미래의 불안함이 가계 소비 성향을 바꾸고 있다는 것.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2일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자료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의 증가가 더딘 현상은 2011년부터 두드러졌다. 전년 대비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의 증가율은 2011년 5.5%·4.6%, 2012년 6.4%·2.7%, 2013년 1.9%·0.9%, 2014년 3.5%·2.8%, 2015년 1.9%·0.5%, 2016년 0.7%·-0.5%로 모두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앞섰다.
소득분위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의 증가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16년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이 58.8%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38.1% 늘어난 반면 5분위는 처분가능소득 64.5% 증가하는 사이 소비지출이 52.7% 늘었다.
한경연 측은 "소비 성향이 변화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1분위 소비지출은 2003년 92만원에서 2016년 146만원으로 54만원 증가했어야 하지만 소비 성향 변화에 따라 35만원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증가 예상분의 35.2%(19만원)가 사라진 셈"이라고 강조했다.
2003∼2016년 소비지출을 부문별로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 보건의료, 주거·수도·광열 부문이 크게 증가했고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반대로 통신비, 식료품, 의류·신발 등은 소비가 더디게 늘어 구성비가 낮아졌다.
소비 증가 둔화에 고령화 및 주거비 상승에 따른 미래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고 한경연 측의 분석이다. 한경연 측은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증가 폭이 작게 나타난 것은 소비 성향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의 소비를 진작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