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쎌바이오텍은 1일 유산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과 대장암 치료 효능을 갖는 재조합 유산균 2종 등 총 3건의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쎌바이오텍은 "유산균 DDS는 일명 카세트 컨셉으로 테이프(운반하고 싶은 특정 DNA)만 바꿔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생물공학, 치료용 단백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응용이 가능하다"며 "유산균 기반으로 부작용이 적고 주사제가 아닌 경구 투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쎌바이오텍은 약물전달력과 발현력이 높은 한국형 김치 유산균(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L4, PP)을 찾아내고 여기에 항암 활성을 갖는 유산균 유래 물질(P8)과 인체 유래 물질(시스타틴A)의 DNA를 재조합해 삽입한 결과 항암 단백질을 다량 생산해내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P8과 시스타틴A 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된 각각의 PP 유산균을 장까지 보내 항암 효과를 알아보는 동물 실험을 실시했다. 배양된 대장암 세포주(DLD-1)를 마우스에 이식해 고형암 마우스 모델을 만든 후 재조합된 PP 유산균을 경구에 투여한 결과 고형암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는 등 항암 효과를 보였다. 또, 장내에서 해당 단백질이 검출돼 장내 정착 후 지속적으로 발현, 분비됨을 확인했다.
쎌바이오텍은 이 건에 대해 국내는 물론 해외 특허(PCT) 출원도 완료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대장암 치료제 시장은 연간 10조원 규모며, 유산균 기반의 경구용 대장암 치료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컨셉이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