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복권의 판매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복권은 당첨금을 연금식으로 20년간 분할해 지급, 안정적인 노후소득 보장을 목적으로 2011년 7월에 도입됐다. 출시 초기 상당한 판매율을 보였지만 최근 5년간 판매율은 30% 안팎에 머물고 있다.
15일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발간한 '2018 회계연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결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금복권 발행액 3276억원 중 1040억원어치가 판매돼 31.7%의 판매율을 보였다.
판매액은 2012년 2146억원으로 최고치를 찍은 뒤 2013년 1224억원, 2014년 973억원, 2015년 955억원으로 감소했다. 2016년 981억원, 2017년 1004억원으로 소폭 증가세를 보였지만 2012년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판매율도 비슷하다. 2012년 65.5%를 기록한 이후 2013년 37.4%, 2014년 29.7%, 2015년 29.2%, 2016년 29.9%, 2017년 30.6%로 매년 30% 안팎에 그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연금복권의 판매가 저조한 것은 예산낭비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매년 판매실적 조조로 미판매 복권의 인쇄비용 30억원 가량이 낭비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연금복권의 판매실적 저조에 따라 인쇄식 복권 발행 비중을 축소하고 인터넷 판매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