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치과 치료로 브릿지나 틀니가 주를 이루었던데 반해, 최근에는 잇몸뼈에 독립적으로 고정하여 주변치아의 삭제가 필요 없고 심미적인 만족도가 더 높은 임플란트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
|
치조골의 상태가 이렇듯 심각하게 부족하면 임플란트를 포기하고 틀니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손실된 치조골이 스스로 자연 치유되어 다시 자라나지 않는 것일 뿐 만드는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뼈 이식'이라고 표현하는 '골이식술'은 신체 다른 부위에서 떼어낸 자신의 덩어리뼈를 사용하거나 작은 알갱이 형태의 골이식재를 사용 해 치조골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임플란트에 동반되는 뼈이식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내부에 뼈를 채우는 '상악동 거상술'도 일반적으로 뼈 이식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환자 결손부의 형태와 위치, 건강도에 따라 사용 되어야 할 방법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만들어야 할 뼈의 양이 많거나 이식부의 형태유지와 보호가 어려운 상황일수록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술자의 노하우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환자 잇몸 뼈의 상태에 따라 사용할 이식 재를 선택하고 차폐 막을 덮어 골 형성의 공간과 시간을 확보 하는 '골유도재생술'과 골 형성 작용에 도움을 주는 '골성장인자이용법'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명확한 치료계획이 치료결과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경험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다. 임플란트를 위한 잇몸 뼈를 많이 만들어 본 의료진이라면 대부분의 치조골 부족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반인 입장에서 의사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병원의 홈페이지에서 실제로 뼈를 만이 만들었던 전후사진을 꼼꼼히 살펴 본다면 충분한 도움이 될 수 있다.
보철과 전문의 수플란트 치과병원의 김선영 대표원장은 "오랜 치주질환에 의해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지기 시작한 단계에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CT촬영 결과를 보면 치조골이 심각하게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뼈가 부족한 부분을 피해서 임플란트를 심는 방법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정상에 가깝게 치조골을 재건하고 정확한 입체적 위치(전후, 좌우, 상하)에 식립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임플란트를 건강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원장은 "만들어야 할 뼈의 양이 많고 남아 있는 치조골의 형태가 나쁠수록 골형성의 기간이 길어 질 수 있고, 이 기간 동안의 치료협조도 매우 중요하다. 뼈를 잘 만드는 병원을 선택 한 후 병원에서 알려주는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킨다면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