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6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대책)을 밝힌 이후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폭이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셋값은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2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3일 조사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은 한 주 사이 0.1% 올랐다. 26주 연속 상승이지만 전주 상승폭인 0.2%와 비교하면 절반으로 줄었다. 정부의 12·16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고가아파트 위주의 급격한 매수심리 위축과 관망세가 확산한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강남권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는 최근 급등세를 보인 일부 단지에서 연말 잔금 조건 등으로 급매물이 나온 가운데 고가아파트 위주의 급격한 매수심리 위축 및 관망세 확산으로 상승 폭이 전주 0.33%에서 이번 주 0.1%로 줄었다.
양천구도 고가아파트가 밀집한 목동 신시가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급감하며 상승 폭이 0.61%에서 0.23%로 감소했다. 강북 지역에서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세를 견인하는 마포구(0.11%)·용산구(0.09%)·성동구(0.07%)도 전주보다 상승 폭을 축소했다.
그러나 주택 매수세가 위축에 따라 전셋값의 상승폭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23%로 한 주 전보다 0.05% 올랐다. 강남구의 경우 최근 학군 수요 증가와 전세 매물 품귀 현상으로 전셋값이 0.52% 올랐고 송파(0.35%)·서초(0.32%)·강동구(0.2%)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양천구(0.56%), 강서구(0.53%), 마포구(0.19%), 서대문구(0.16%), 성동구(0.13%), 중구(0.13%), 동대문구(0.10%) 등 비강남 지역도 전주보다 전세가격이 올랐다.
감정원 측은 "서울에서 전반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입주 물량이 줄어든 가운데 방학 이사철과 교육제도 개편에 의한 학군 수요 증가, 청약 대기 수요 등의 영향으로 전셋값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