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년이 되면 병원을 가기가 두려워진다. 각종 연령질환들이 언제 '선고'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노화를 상징하는 질병이 하나 둘 찾아올 때마다 마음이 싱숭생숭하다. 물론 몸도 아프다.
그런데 어깨 질환은 50대 이상의 전유물이 아니다. 30~40대에게서도 종종 발생한다. 오랜 시간 PC를 사용하거나 쉴 틈 없이 스마트폰을 쳐다보다 보면 어깨에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점차 목과 팔까지 퍼진다. 특히 팔을 위로 들거나 몸 뒷쪽으로 빼게 되면 엄청난 통증이 찾아온다. 통증이 오십견과 비슷하다. 그래서 '아직은 이른데 벌써 오십견이 찾아왔나' 하고 걱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나이대 찾아오는 것은 대부분 오십견이 아닐 확률이 높다. 중년 층에 자주 발견되는, 그리고 장년층도 당연히 오십견인줄 알고 있는 어깨 통증 상당수는 바로 '회전근개파열'이다. 오십견 발병률은 약 10%에 그치는 반면 증상이 없는 60세 이상에서 회전근개파열은 약 30%까지 발견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다.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힘줄(근육)을 말한다. 팔을 들거나 돌리는 등 어깨 운동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근육으로, 이 중 하나라도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극심한 어깨 통증과 함께 팔의 힘이 떨어져 팔을 움직일 수 없다.
또한 이 원장은 "문제는 회전근개파열이 오십견과 비슷해 보이지만 그 대처방법이 반대라는 점이다. 오십견의 경우 관절이 굳지 않게 어깨를 자주 움직여야 하지만 회전근개파열은 반대로 어깨를 계속 사용하면 힘줄 파열이 더욱 심해질 수도 있다. 운동 강도를 조절해가며 스트레칭 위주로 어깨를 써야 한다"고 전했다.
이 원장은 이어 "오십견과 달리 회전근개파열은 자연 치유 가능성이 낮다. 파열 정도가 미미하면 약물치료나 근력강화 운동으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완전파열이 되면 대부분 수술치료로만 가능하다"면서 "둘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오십견은 어깨가 굳어 팔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 자체가 힘들지만, 회전근개파열은 통증이 있되 힘을 주면 팔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오십견은 특정 자세에서 악 소리가 날 만큼 아프고 밤에 자기 힘들 정도로 어깨 통증이 심하지만 회전근개파열의 통증은 그만큼 심하지 않다"며 "자가진단도 좋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판단을 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