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국내 기업 사이에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지만, 실제 위원회를 설치한 대기업은 3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 제출 334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ESG위원회가 설치된 기업은 97곳으로 29%에 그쳤다. 이 가운데 ESG위원장이 선임된 곳은 69곳으로 조사 대상 기업의 20.6%였다.
유럽의 탄소세 부과 등의 여파로 포스코·현대제철 등 철강업종은 ESG 설치 기업이 12곳 중 9곳에 달했다. 이에 비해 자동차, 부품, 에너지, 조선기계 설비 업종은 ESG 위원회 설치 기업이 30% 이하로 낮았다.
또한 ESG 위원과 위원장은 대부분 사외이사가 겸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전문성 논란도 제기된다. 위원장의 이력은 학계 출신이 전체의 32%로 가장 많았고, 관료 출신과 재계 출신이 각각 26%로 뒤를 이었다. 관료 중에는 검찰, 국세청 출신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오너 중에는 카카오의 김범수 의장과 엔씨소프트의 윤송이 CSO가 ESG 위원장을 맡고 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지금까지 ESG 위원장의 면면 등으로 비추어 볼 때 ESG 위원회가 전문성보다는 사외이사의 연장선상에 있는 조직이 아닌가 의심된다"며, "위원회의 전문성도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