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계와 중고차 업계가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한 지 두 달이 넘은 가운데, 여전히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처럼 완성차와 중고차 업계가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음에도 일부 쟁점과 관련해 여전히 입장차가 큰 탓에 이달 말까지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가장 큰 쟁점은 완성차 업체가 취급 가능한 중고차 대수를 결정하는 '전체 물량'의 기준이다. 현재 국내 중고차 시장의 1년 거래량은 약 250만대로 이 중 사업자 거래 매물이 약 130만대, 개인간 직거래 매물이 약 120만대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중고차 업계의 의견대로라면 완성차 업체가 취급할 수 있는 물량은 13만대 가량에 그치게 된다.
완성차 업계는 애초 개인 거래량까지 모두 포함한 250만대가 전체 물량이라는 전제 하에 판매 물량을 10%로 제한하는 방안에 동의했던 것이라며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고차 업계도 완성차 업체에 개인 직거래 물량까지 양보할 수는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어 협상은 다시 난항을 겪고 있다.
을지로위원회는 양측의 최종 의견을 바탕으로 이르면 이번주 합의 내용 등을 발표한다는 계획이지만, 업계에서는 이번주까지 논의를 마무리짓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