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수입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물류난과 산지 인건비 상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돼지고기와 쇠고기, 과일, 수산물 등 신선 식품을 위주로 수입 원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유통업계에서는 이런 추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24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최근 수입 과일을 들여오는 가격은 지난해 이맘때쯤과 비교해 평균 10∼15% 올랐다. 자몽은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산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수입 물량 자체가 축소되고 인건비·물류비 상승이 더해지면서 전년 대비 20%가량 가격이 올랐고, 포도와 멜론도 올여름 폭염으로 현지 생산량이 감소하고 미국 국내 소비가 증가하며 수입량이 줄어 전년 대비 가격이 15% 인상됐다. 오렌지와 파인애플, 레몬 가격은 평균 10% 이상 올랐다.
베트남·인도네시아산 냉동 새우와 아프리카 모리타니아산 문어의 가격도 각각 15∼20%가량 올랐다. 돼지고기와 소고기는 수입가와 소매가가 모두 올랐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보면 이달 9∼17일 수입 냉동 삼겹살 가격(이하 kg 기준)은 745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9% 올랐고, 수입 냉장 삼겹살은 8635원으로 18.43% 올랐다. 수입 냉동 소갈비 가격은 1만953원으로 43.53%, 냉장 소갈비 가격은 1만9225원으로 38.98% 인상됐다.
유제품 수입가도 올랐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이달 9∼17일 모차렐라 치즈 가격은 kg당 5541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94%, 버터 가격은 9801원으로 3.1% 각각 인상됐다.
유통업계는 현재 자체 마진율을 줄이는 식으로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있지만 이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계단식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대량 유통이 가능하고 유통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수입 공산품의 경우 판매 가격은 신선 식품과 달리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