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올랐음에도 다시 역대 최대 규모 손실이 날 것으로 점쳐진다.
지난 9월 말까지 손해보험업계는 실손보험 가입자로부터 위험보험료 6조3576억원을 걷었지만, 보험금으로는 이보다 2조원 가량 더 많은 8조3273억원을 지급했다.
발생손해액을 위험보험료로 나눈 위험손해율은 131.0%를 기록했다. 보험료 수입보다 나가는 보험금이 31% 더 많은 '적자 구조'인 것이다.
전체 실손보험 계약에서 손해보험사의 점유율이 80% 수준임을 고려하면 손해보험업계와 생명보험업계를 합친 전체 실손보험의 올해 적자는 3조6000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위험손해율은 보장이 더 후한 옛 실손보험 상품일수록 더욱 심각하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舊)실손보험의 올해 3분기까지 위험손해율은 140.7%로 나타났다. '2세대' 표준화실손보험(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의 위험손해율도 128.6%에 달해 적자가 심각했다.
'3세대' 신실손보험(2017년 4월∼2021년 6월 판매)의 경우 위험손해율이 2019년부터 100%를 초과했고, 올해 9월 말에 112.1%로 악화했다. 기존 실손보험이 모두 적자 구조이긴 하나 특히 초창기 상품이 대규모 적자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4월 1세대 상품에 대해서는 최고 21.2%의 보험료 인상률이 적용됐지만 손해율은 전년 동기(141.7%)와 비슷한 수준이다.
손해보험업계 관계자는 "1세대 실손 가입자는 낸 보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더 많은 보험금을 받아 간 셈"이라고 설명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