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축은행이 예대금리차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어 금융당국이 금리운용 실태를 점검한 뒤 결과를 공개해 금리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예대마진 수익 증가세는 상위권 저축은행에서 한층 뚜렷했다.
OK저축은행의 예대마진 수익은 2018년 5979억원에서 지난해 8301억원으로 38.8% 불었고, SBI저축은행은 4898억원에서 6294억원으로 62.2% 급증했다.
79개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평균값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7.9%포인트(p), 2020년 7.6%p로 나타났다. 올해 7월까지는 평균 7.2%p로 파악됐다.
강 의원은 저축은행들의 예대금리차는 3년 새 소폭 감소했으나, 이 기간 시중은행(약 1.9%p)과 비교해 볼 때 4배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예대마진 수익 증가는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자산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강 의원은 저축은행 대출자 가운데 중·저신용자 비중이 시중은행보다 커서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더 클 수밖에 없지만, 예대금리차가 시중은행의 4배에 이르는 금리 운용이 과연 적정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강 의원은 "저축은행의 금리 운용 실태를 주기적으로 공개해 금리 인하 경쟁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