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부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척추기립근면 차단술을 시행하면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는 전신마취 하 요추부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척추기립근면 차단을 시행한 대상을 실험군으로, 시술을 받지 않거나 국소마취제 대신 위약으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상을 비교군으로 설정했다. 수술 후 24시간 동안의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량, 수술 후 48시간 동안 통증점수, 수술 후 구역 및 구토의 빈도, 환자의 만족도, 병원 체류 기간 등을 비교했다.
12개 무작위 대조 시험 문헌에서 665명의 대상자가 분석됐다. 비교군에 비해 척추기립근면 차단은 수술 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투여량을 감소시켰으며, 수술 후 통증 정도를 더 감소시켰다. 또한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빈도의 감소, 환자의 만족도 증가, 병원 체류 기간의 감소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시행한 하위군 분석에서 고정된 척추 레벨에 시행한 차단술에 비해 절개 및 수술 부위에 해당하는 레벨에 시행한 차단술에서 수술 후 진통제 투여량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임병건 교수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전신마취 하 요추부 척추수술을 시행 받는 환자 중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척추기립근면 차단술을 절개 및 수술 부위에 시행한다면 환자의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 가능하다"며 "또한 마약성 진통제 투여를 줄이고 이로 인한 합병증 위험도 감소시킴으로서 환자 만족도 증진 및 병상 가동률 증진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