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 하트(Heart)팀이 고령의 승모판역류증 환자를 대상으로 '마이트라클립(Mitraclip)' 시술을 성공했다.
심장 내 승모판막은 좌심실과 좌심방 사이에 위치해 혈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출입문 역할을 한다. 이 승모판에 역류가 발생하면 호흡곤란·피로감·부종·식욕감소·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를 내버려 두면 심부전 등 다른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마이트라클립 시술은 허벅지 대퇴정맥에 관을 넣어 심장 내부에 도달시킨 다음(역류가 발생하는) 잘 닫히지 않는 승모판을 동전보다 작은 크기의 클립으로 고정하는 시술이다. 승모판막을 구성하는 두 개의 판 사이를 클립으로 집어서 판막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생기는 빈틈을 없애 혈액 역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번에 시술을 받은 반영수씨(가명, 80)는 심각한 호흡곤란증세로 고윤석 교수를 찾았다가 중증 승모판역류증 진단을 받았다. 반씨는 즉시 심장수술 등 빠른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으나 평소 심방세동과 고혈압을 앓고 있었고, 뇌졸중 병력도 있는 고위험군 환자로 개흉 수술을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고윤석 교수는 반씨에게 마이트라클립 시술을 시행하기로 했다.
시술은 심장이미징·중재시술·마취 팀 간 긴밀한 소통이 이뤄져야 가능하다. 하트팀은 최소침습으로 반씨의 사타구니 정맥에 가느다란 관을 넣어 심장 내부에 도달시킨 다음, 3D경식도초음파를 통해 클립의 정확한 위치와 승모판의 해부학적 구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벌어진 승모판에 클립을 장착했다.
반씨는 고령에다 뇌졸중, 심방세동, 고혈압 등 복합질환을 앓고 있었던 고위험군 환자였음에도 시술 후 건강을 되찾고 퇴원했다. 이후 외래진료에서 반씨는 승모판역류증에 의한 호흡곤란 증상이 확연히 호전됐음을 확인했다.
고윤석 교수는 "마이트라클립 시술이 성공적으로 끝났을 때 장기 예후가 수술과 비슷할 정도로 우수하다"면서 "수술이 불가능한 고위험군 환자나 심부전에 의한 이차성 승모판 역류는 수술적 치료가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마이트라클립 시술은 훌륭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림대성심병원 심장혈관센터는 최첨단 디지털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한 하이브리드수술센터를 갖추고 원스톱 24시간 타비(TAVI) 시술팀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국내 처음으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게 경동맥을 통한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I) 시술'을 시행한 바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