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갱년기·중년 여성에서 발생하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새 진단법이 제시됐다.
연구팀이 제시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새 진단법은 핵의학 검사인 침샘스캔을 이용한 진단법이다.
박재홍 교수는 "구강 내 소견 및 혈액·세균배양·영상검사 등에서도 별다른 이상이 없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진단은 현재 의사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다"면서, "침샘스캔의 결과치를 활용했으며, 객관적인 구강작열감증후군 진단법을 정립한 최초의 연구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상미 교수는 "침샘의 섭취속도, 배출속도, 섭취비율, 축적정도 등 22개의 척도를 분석해 유의한 척도를 점수화 시켰다"며, "주관적 판단에 의한 현 진단법을 대체할 객관적 진단 방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Diagnostics 2022년 9월호에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정량적 침샘스캔의 임상적 유용성'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